대구 수성구 망월지 두꺼비 "알 낳으러 출발~!"

입력 2021-02-15 15:41:40 수정 2021-02-15 22:58:34

15일 오전 3시쯤 CCTV 통해 성체 두꺼비 이동 포착
산란 위해 떼 지어 이동…구청 "안전펜스 설치·모니터링"

15일 전국 최대 두꺼비 산란지인 대구 수성구 욱수동 망월지 주변에서 두꺼비들이 이동하고 있다. 며칠간 따뜻한 날씨가 이어지며 전날 늦은 저녁부터 성체 두꺼비들이 산란을 위해 인근 욱수골에서 망월지로 내려오기 시작했다. 연합뉴스
15일 전국 최대 두꺼비 산란지인 대구 수성구 욱수동 망월지 주변에서 두꺼비들이 이동하고 있다. 며칠간 따뜻한 날씨가 이어지며 전날 늦은 저녁부터 성체 두꺼비들이 산란을 위해 인근 욱수골에서 망월지로 내려오기 시작했다. 연합뉴스

15일 오전 8시쯤 망월지를 향해 이동하는 두꺼비들의 모습. 수성구청 제공
15일 오전 8시쯤 망월지를 향해 이동하는 두꺼비들의 모습. 수성구청 제공
15일 오전 3시쯤 CCTV 영상 속 두꺼비들의 이동 모습. 수성구청 제공
15일 오전 3시쯤 CCTV 영상 속 두꺼비들의 이동 모습. 수성구청 제공

전국 최대 두꺼비 산란지로 알려진 대구 망월지의 두꺼비들이 산란을 위해 이동하는 장면이 포착됐다. 이는 올 들어 처음이다.

15일 대구 수성구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3시쯤부터 욱수동에 있는 망월지에서 두꺼비들이 이동하는 모습이 폐쇄회로(CC)TV에 포착됐다. 인근 욱수산에서 겨울잠을 자던 성체 두꺼비가 지난 14일부터 비가 내리자 밤새 산란을 위해 망월지로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

이곳 두꺼비들은 매년 2월 중순쯤이면 산란을 위해 망월지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는 두꺼비들의 회귀성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수백 마리의 성체 두꺼비들이 욱수산에서 내려와 암컷 한 마리당 1만여 개의 알을 2줄씩 15m 이상으로 낳고, 떠내려가지 않게 나뭇가지 등에 감아놓고 돌아간다. 알에서 깨어난 올챙이들은 물 속에서 60~70일을 보내며 새끼 두꺼비로 성장한다. 그해 5월이 되면 수만 마리의 새끼 두꺼비들은 신비로운 장관을 이루며 떼를 지어 욱수산으로 이동하게 된다.

수성구청은 이달 초 성체 두꺼비들이 이동 경로를 이탈해 로드킬을 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지펜스를 설치했다. 이동 통로에 설치한 CCTV로 실시간 모니터링도 한다.

수성구청 관계자는 "성체 두꺼비들이 알을 낳은 후 새끼 두꺼비들이 안전하게 산으로 돌아갈 때까지 망월지 주변 수초 정리와 수질검사를 실시하고, 주기적으로 방지펜스를 확인하는 등 두꺼비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