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주택담보 등 가계대출 증가…”투자·생계 목적”

입력 2021-01-20 16:49:47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2020년 11월 대구경북 금융기관 수신 및 여신 동향’ 발표
지난해 11월 여신 2조6천억 증가…특히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은 전월보다 84% 뛰어

부동산·주식 투자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생활자금 수요가 몰리면서 대구경북 가계대출이 대폭 증가했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20일 발표한 '2020년 11월 대구경북 금융기관 수신 및 여신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대구경북 예금은행 여신은 2조6천170억원 증가해 전월(2조4천772억원)보다 증가폭이 커졌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20일 발표한 2020년 11월 대구경북 금융기관 여신 및 수신 동향 그래프.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제공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20일 발표한 2020년 11월 대구경북 금융기관 여신 및 수신 동향 그래프.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제공

예금은행에선 전월과 비슷한 1조8천209억원이 증가했으나 비은행기관에선 전월보다 1천억원 이상 많은 7천961억원이 늘어 증가폭을 키웠다.

주택담보대출을 포함한 가계대출은 지난해 11월 1조2천734억원 증가해 전월 증가액(7천83억원)보다 더 크게 늘었다. 이에 따른 지난해 11월 말 가계대출 총 잔액은 전년 동월 대비 12.1% 증가한 50조2천293원으로 나타났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이 7천185억원으로 나타나 전월(3천907억원)보다 83.9%나 늘었다. 이에 따른 지난해 11월 말 주택담보대출 총 잔액은 전년 동월보다 8.4% 증가한 33조5천609억원에 달했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20일 발표한 2020년 11월 대구경북 금융기관 여신 및 수신 동향 그래프.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제공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20일 발표한 2020년 11월 대구경북 금융기관 여신 및 수신 동향 그래프.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제공

이에 반해 수신은 6천759억원 늘어 전월(1조340억원)보다 증가폭이 줄었다.

예금은행에서는 7천440억원 증가해 전월(3천928억원)보다 증가폭이 확대됐다. 비은행기관에선 전월(6천413억원 증가)과 달리 682억원 줄면서 감소 전환했다.

예금은행에선 금리 인하 등 영향으로 적금 등 저축성 예금의 증가폭이 줄었다. 다만 공공자금 등 예치액이 늘면서 요구불예금(자유 입출금식) 증가폭이 컸다.

정나리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기획금융팀 조사역은 "여신 가운데 특히 가계대출이 높았던 것은 저금리에 따른 부동산·주식 투자와 생활자금 수요가 높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11월 말 신용대출 규제가 예고되면서 가계대출 수요가 대폭 늘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