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 의대, 치매 완화 단백질 C8-감마 기능 규명

입력 2021-01-07 14:03:31 수정 2021-01-07 16:59:28

석경호·김종헌 교수 공동연구팀

석경호 경북대 교수
석경호 경북대 교수
김종헌 경북대 교수
김종헌 경북대 교수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경북대 의과대학 석경호, 김종헌 교수 연구팀이 치매 병리현상 중 하나인 뇌염증에서 농도가 증가하는 생체단백질 C8-감마의 염증 완화 기능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치매의 주요 병리현상인 뇌염증은 뇌에 발생한 감염에 대응하거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포반응으로, 주로 교세포의 활성에 의해 일어난다. 교세포는 신경세포 생존 및 활성 지지 기능을 가진 성상교세포와 뇌 속 청소를 담당하는 미세아교세포로 구성된다.

경미한 뇌염증은 회복되지만, 과도한 뇌염증은 비가역적인 뇌 손상을 일으켜 치매의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연구팀은 뇌염증이 동반되는 치매 동물 모델이나 치매환자의 뇌에 C8-감마 단백질 농도가 정상군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을 관찰했다. 뇌척수액과 혈액에서도 정상군보다 이 단백질의 농도가 증가해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뇌염증 및 알츠하이머병 동물 모델을 이용해 급성 뇌염증이 성상교세포를 자극해 C8-감마 발현을 유도한다는 것을 밝히고, 이를 실제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 조직에서 검증했다.

치매환자에서 C8-감마 단백질의 농도 증가는 진단을 위한 실마리가, 미세아교세포 활성 저해를 통한 염증 완화라는 C8-감마의 역할은 치료제 개발 연구의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기초연구사업(MRC) 등의 지원으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류훈·황은미 박사) 및 한국뇌연구원(허향숙·최영식 박사)과 공동으로 진행됐다. 연구 성과는 뇌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브레인(Brain)에 2020년 12월 31일 자로 온라인 게재(표지 논문)됐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