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 연구자
이마는 툭 튀어나왔고 머리는 대머리인데 정수리는 외계인처럼 길쭉하게 솟았다. 키는 작달막하다. 장두단구(長頭短軀)로 볼품은 없지만 수명을 관장하므로 가장 중요한 신선이다. 수노인(壽老人), 수성(壽星)노인, 남극노인 등으로 불린다. 옛날 사람들은 남극성인 남두육성(南斗六星)이 장수를 맡은 노인성(老人星)이라고 생각해 이 별자리를 이렇게 좀 우스꽝스러운 신선의 모습으로 그렸다. 삶을 오래오래 누리는 것이야말로 누구나의 소원이므로 수노인 그림은 장수를 축하하거나 기원하는 용도로 애호된다.
김명국의 '수로예구'는 수노인의 소맷자락 아래에 끌려가는 거북이도 그렸다. 긴 수명을 약속하는 위에 십장생인 거북까지 그렸으니 금상첨화이다. 인조 때 도화서 화원인 김명국은 1636년과 1643년 두 차례 통신사 수행화원으로 선발되어 일본에 다녀왔다. 이 그림은 김명국이 일본에서 그곳 수요자의 취향에 맞추어 그렸던 그림이 우리나라로 들어온 것이다.
일본 선화(禪畵)에 많이 보이는 붓질을 극도로 간략하게 한 감필 수묵화이다. 귀 옆의 옷깃 표현을 보면 목 뒤에서 가슴으로 내려오는 부분에서 붓의 중심을 확 꺾어 붓털이 종이에 닿는 부분을 바꾸어 편필로 넓적하게 펼쳐내다가 붓끝을 뽑아 올려 선과 면을 동시에 나타내며 옷깃을 그렸다. 그러면서 동시에 붓을 누르고 들며 농담까지 조절해 얹었다. 붓이 한 번 지나가는 순식간에 일어난 일이니 필력이 말할 수 없이 좋았던 것이다. 거북이 위쪽에 '연담(蓮潭)'으로 호를 써 넣은 필치 또한 나는 듯 날렵한 붓 맵시와 멋스러움이 넘친다.
당나라 때 궁궐의 벽화를 그리게 되었을 때 이사훈은 수개월간 매달려 치밀하게 공들여 그렸고, 오도자는 단 하루 만에 완성했다. 안목 높은 주문자인 현종이 "둘 다 그 묘함이 지극하다"라고 했다는 이야기가 오도자를 '신품(神品)'으로 꼽은 『당조명화록』(840년 무렵)에 나온다. 세밀한 그림은 그것대로 좋고, 호쾌한 그림은 또 그것대로 좋은 것이다. 조선 후기 비평가 청죽(聽竹) 남태응은 김명국, 이징, 윤두서 이 세 화가를 각각 신품, 법품(法品), 묘품(妙品)으로 품평하며 『논어』를 빌어 김명국은 날 때부터 아는 생이지지(生而知之), 윤두서는 배워서 아는 학이지지(學而知之), 이징은 애써 노력해서 아는 곤이지지(困而知之)라고 했다. 그러면서 "성공즉일야(成功則一也)", 공(功)을 이룬 것은 같다고 했지만 우열이 없을 수는 없는 일, 김명국을 으뜸으로 꼽았다.
댓글 많은 뉴스
"尹 지지율 46% 나와…2030 지지율도 40%대 ↑"
박수현 "카톡 검열이 국민 겁박? 음주단속은 일상생활 검열인가"
'카톡 검열' 논란 일파만파…학자들도 일제히 질타
이재명 "가짜뉴스 유포하다 문제 제기하니 반격…민주주의의 적"
"나훈아 78세, 비열한 노인"…문화평론가 김갑수, 작심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