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내년 예산 편성 제안
與 재보선 고려 적극 검토 급선회
취지는 공감, 재원조달은 이견
국민의힘발(發) 3차 재난지원금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3차 재난지원금을 3조6천억원 규모로 짜서 내년도 예산에 넣자는 국민의힘 제안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한발 늦게 적극적인 검토 입장으로 급선회하면서다. 여당은 소극적으로 나설 경우 내년 4월 재보궐선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정의당이 26일 전 국민 30만원씩 지급을 주장하며, 21조원 편성을 요구하는 등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될 전망이지만 재원조달 방안, 지원 대상 및 규모 등을 놓고는 논란이 불가피하다.
3차 재난지원금은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23일 내년 본예산에 정식으로 포함시키자고 제의하면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애초 민주당은 피해 규모 상정이 정확하게 안 되는 상황에서 논의하는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는 입장이었지만 찬성으로 방향을 틀었다.

이낙연 대표는 지난 25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내년도 예산안을 심의하고 있으니 취약계층 지원책을 예산안에 반영하는 방안을 정부와 함께 찾겠다"며 "야당과도 협의하기 바란다"라고 말했다.
이성만 원내부대표도 26일 정책조정회의에서 "비상시국에 대비해 적극적인 행정을 보여야 할 때"라며 "피해 업종과 취약계층 지원이 시급하다. 재난지원금과 새희망자금 등 3차 추경까지 보완해야 할 부분을 정비해 내년 본예산에 집행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논의가 본격화된 모양새지만 접점을 찾기까지는 갈 길이 험하다. 먼저 국민의힘은 한국형 뉴딜 예산을 삭감해 그 돈으로 충당하자고 주장한다. 반면 민주당은 내년도 예산안에 5조4천억원 규모로 편성한 목적 예비비를 활용하는 카드 등을 만지작거리고 있다. 적자국채 발행이 불가피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다만, 뉴딜 예산만큼은 건드릴 수 없다는 강경 입장이다.

내달 2일로 다가온 내년도 예산안의 법정 처리 시한도 부담이다. 여야는 1주일의 여유도 갖지 못한 채 지원 대상과 규모 등을 놓고 샅바 싸움을 벌여야 할 상황이다. 민주당은 피해가 큰 계층을 위한 특별 맞춤형 지원임을 분명히 하고 있어 선별적 지원이냐, 보편적 지원이냐를 둘러싼 논란이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