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영일만대교 조성 요망…끊어진 동해안 맥 이어야"

입력 2020-11-08 17:11:43 수정 2020-11-08 17:17:03

포항~영덕 간 고속도로 중 영일만 횡단구간만 단절돼 있어
7일 포항 찾은 정세균 총리, "심도 있게 검토"

경북 포항~영덕 간 고속도로 영일만 횡단구간 조감도. 경북도 제공
경북 포항~영덕 간 고속도로 영일만 횡단구간 조감도. 경북도 제공

경북 포항~영덕 간 고속도로 단절구간을 영일만 횡단구간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 7일 포항을 찾은 정세균 국무총리도 정부에 심도 있는 검토를 요청하며 힘을 보태고 있다.

길이 30.92km, 사업비 1조3천179억원 규모의 포항~영덕 간 고속도로는 2016년 착공해 2023년 준공을 목표로 공사 중이다. 2011년 국토교통부의 타당성 조사 당시 영일만을 횡단하는 구간(18km, 사업비 1조6천189억원)도 건설하려 했으나 2013년 정부는 국가재정 부담, 우회도로 활용 가능성 등을 이유로 제외했다.

문제는 우회도로 교통량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해당 구간 교통량은 2014년 하루 평균 2만3천대에서 지난해 4만1천대로 급증했다. 이런 추세라면 포항~영덕 고속도로가 개통되는 2023년에는 극심한 교통체증이 우려된다.

경북도는 포항 남쪽의 포스코, 철강산업단지, 블루밸리국가산업단지와 북쪽의 영일만항, 배터리규제자유특구의 교통 순환체계가 이뤄지려면 영일만 횡단구간 조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또 부산과 속초를 잇는 동해고속도로(총연장 389.5km)가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도 단절된 고속도로를 영일만 횡단구간 조성으로 이어야 한다고 판단한다. 이는 단순히 경북과 포항의 사업이 아닌 남북 통일시대 대비, 아시안 하이웨이 노선 연결 등 환동해 경제벨트 구축을 위한 국가적 과제라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올해 1월 포항을 찾았던 문재인 대통령에게 해당 영일만 횡단대교 건설을 건의하는 등 중앙 부처, 정치권에 적극적인 관심을 요청하고 있다.

7일 포항을 찾은 정세균 국무총리가 죽도시장에서 장을 보며 상인들이 체감하는 지역 경제 상황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포항시 제공
7일 포항을 찾은 정세균 국무총리가 죽도시장에서 장을 보며 상인들이 체감하는 지역 경제 상황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포항시 제공

특히 정 총리는 지난 7일 포항 지진 및 경제 현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지진 피해 극복방안으로 영일만 횡단대교를 꼽으며 큰 관심을 보였다. 정 총리는 "이철우 지사가 영일만을 가로지르는 대교에 대해 여러 차례 말을 했다"면서 "정부에 심도 있게 검토하도록 요청했다"고 했다.

이 지사는 "지진으로 고통 받는 포항을 비롯한 경북지역 뉴딜사업으로 영일만 횡단대교만한 것이 없다"며 "통합신공항, 영일만항을 경북 물류 양대 축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도 대교 건설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