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민주당 후보가 대선 승리를 눈앞에 두게 된 것은 경합주(스윙 스테이트) 6곳 중 3곳을 가져온 게 큰 역할을 했다.
전통적인 '공화당 텃밭', 애리조나(선거인단 11명)에서 예상 밖 승리를 거둔 것과 2016년 대선에서 충격적 패배의 원흉이 됐던 '민주당 텃밭' 위스콘신(10명)을 다시 가져온 것이 이번 선거 승리의 일등 공신이 된 셈이다.
승리가 확실시되는 애리조나는 지난 72년 동안 민주당이 단 한 차례(1996년)만 이겼을 정도로 공화당세가 강한 곳이다. 이번 선거에서는 86%를 개표한 결과, 바이든 후보가 50.7%를 얻어 트럼프 대통령(47.9%)을 제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언론은 이변의 원인으로 도시화로 인한 젊은 인구의 유입과 매케인 효과 등을 꼽는다. 미국 서남부 사막지대에 있는 애리조나는 주도인 피닉스와, 투싼 등 주요 도시들의 덩치가 커지고 기업이 늘면서 캘리포니아와 뉴욕 등에서 젊은 노동자들이 많이 유입되고 있다. 도시화와 젊은 인구의 증가는 통상 민주당에 유리한 요인이다.
애리조나가 바이든에 기운 또 다른 이유로 지역의 대표 정치인이었던 존 매케인 전 상원의원의 부인이 바이든 지지를 선언한 것이 꼽힌다. 트럼프는 베트남 전쟁 포로였던 매케인 전 의원을 "전쟁 영웅이 아니다"라고 조롱했는데, 이 때문에 매케인은 트럼프를 인정하지 않았다.
2년 전 남편을 여읜 부인 신디 매케인은 남편의 뜻을 이어, 민주당 전당대회에 참석해 바이든 지지를 선언했다. 선거 직전 <유에스에이투데이>에 '공화당원이 바이든에 투표하는 이유'라는 제목의 글을 기고하기도 했다.

위스콘신은 1988년부터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를 지지해 왔으나, 28년 만인 2016년 대선에서 처음으로 공화당 트럼프 후보를 선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곳에서 2만7천표, 단 0.7%포인트 차이로 힐러리 후보를 눌렀다.
당시 언론은 쇠락한 공업도시인 '러스트 벨트'에 속하는 위스콘신의 성난 백인 노동자들이 반란을 일으킨 것으로 분석했는데, 4년 만에 다시 민주당을 선택한 것이다.
이를 두고 지난 8월 위스콘신 커 노사에서 자식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경찰 총격으로 하반신이 마비된 흑인 '제이컵 블레이크 사건'의 영향도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5월 경찰의 목누름으로 사망한 '흑인 조지 플로이드 사건'에 이어 블레이크 사건이 터지면서 미 전역에 인종차별 반대 시위가 확산됐고, 트럼프 대통령은 경찰권을 보호하는 쪽에 서면서 논란이 됐다.
하지만 위스콘신 주민들이 민주당 쪽에 확실하게 돌아선 것은 아니다. 이번 대선에서 바이든 후보는 트럼프 대통령보다 2만1천표, 단 0.6%포인트 앞섰다. 4년 전보다 표 차가 더 줄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위스콘신 재검표를 요구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