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집 새로 지으면 돼"…김정은 "깊은 동포애"

입력 2020-09-25 17:49:12 수정 2020-09-25 22:40:14

北 통지문 직후…靑, 문 대통령-김 국무위원장 친서 공개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25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룸에서 남북한 정상 친서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25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룸에서 남북한 정상 친서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군이 남측 공무원 A씨를 총살·화장해 온 국민이 경악하는 가운데 청와대가 최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해 친서를 주고받은 사실을 25일 공개했다. 친서 공개는 북한의 사과 통지문이 나온 직후 이뤄졌다.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이 지난 8일 김 위원장에게 먼저 친서를 보냈고, 김 위원장은 나흘 뒤인 12일 문 대통령에게 친서를 발송해 화답했다.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남북 정상의 친서 전문을 공개했다. 친서 전문을 공개한 건 극히 이례적이다. A씨 사건으로 급속도로 악화된 여론과 남북관계 경색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과 주고받은 친서 내용을 있는 그대로 모두 국민에게 알려드리도록 하라"는 문 대통령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는 게 서 실장의 설명이다.

문 대통령은 친서에서 "코로나바이러스로 너무나도 길고 고통스러운 악전고투 상황에서 집중호우, 수차례 태풍에 이르기까지 우리 모두에게 큰 시련의 시기"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무너진 집은 새로 지으면 되고, 끊어진 다리는 다시 잇고, 쓰러진 벼는 일으켜 세우면 되지만, 사람의 목숨은 다시는 되돌릴 수 없으며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절대적 가치"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답신에서 "대통령의 진심 어린 위로에 깊은 동포애를 느꼈다"며 감사의 뜻을 표한 뒤 "나 역시 이 기회를 통해 대통령과 남녘의 동포들에게 가식 없는 진심을 전해드린다"고 밝혔다.

남북 정상이 친서를 주고받은 건 지난 3월 이후 6개월여 만이다. 김 위원장은 3월 4일에, 문 대통령은 그 다음날 친서를 각각 보내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염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