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일명 '판교2밸리'(판교 제2테크노밸리)를 지방에도 만들겠다고 23일 밝혔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지방 대도시', 즉 대구를 비롯해 부산, 광주, 대전, 울산 등 5개 광역시의 도심 한복판에 만들겠다는 얘기다.
이날 국토교통부는 제27차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본회의를 열고 중소벤처기업부와 공동 안건으로 '도심융합특구' 조성계획을 보고 및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도심융합특구는 ▶싱가포르 원노스 지구(노바티스 등 세계적 제약회사 연구개발센터 및 840여개 스타트업 기업 입주) ▶미국 세인트루이스 코텍스 혁신지구(대학·기업 등이 합작 법인을 설립하는 등 415개 기업 입주, 1천 가구 주민 거주) ▶스페인 바르셀로나 포블레노우(방직산업 집적지에 조성, 925개 기업 입주, 3만2천여명 고용) 등처럼 공공으로, 또는 공공 민간 협업으로 '삶-일-여가'(live-work-play)를 담는 혁신지구를 모델로 한다.
우리나라에는 판교 제2테크노밸리가 도심융합특구로 조성되고 있다. 정부가 산업, 주거, 문화가 어우러진 공간을 조성한 후 창업 및 벤처 기업 등을 유치하고 있는 사업이다. 현재 450개 회사가 유치돼 있고, 이를 1천개 회사로 확대한다는 게 정부 계획이다.

대구의 경우 비슷한 '키워드'를 넣은 사업으로 동대구역 일대에 벤처밸리가 조성된 바 있고, 북구 침산동 구 제일모직 터에 벤처 창업 등을 지원하는 대구삼성창조캠퍼스가 만들어진 바 있지만, 규모가 큰 편은 아니다.
정부는 국가균형발전위원회를 중심으로 관계 부처 간 협의회를 구성, 세부 지원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그러면서 앞서 언급한 대구 등 5개 광역시와 협의해 선도 사업지 발굴을 할 예정이다. 서울을 제외한 대도시들의 인구 유출과 경제 활력 저하 등 문제의 원인으로 구도심 쇠퇴도 언급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도 떠오를지 주목된다.
국토교통부는 "기존 개발 방식은 도시 외곽을 대상으로 저밀도로 이뤄져 접근성과 정주 여건이 부족했으나, 이번 도심융합특구 개발은 도시의 중심지를 대상으로 하며 고밀도로 추진해 접근성과 정주 여건이 양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는 대구 등 광역시들에 먼저 사업을 시행한 후 효과를 분석해 인구 50만 이상 등 일정 규모 이상 도시로도 사업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