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대구·구미 취수장 함께 써도 "수질·수량 충분"

입력 2020-09-15 22:30:00

환경부 '낙동강 물 관리' 용역 내용
해평취수장, 대구에 하루 30만t 공급할 여유 충분
낙동강 본류 수질 영향도 미미한 수준…2급수 기준 유지
구미·대구 시민단체 상생 해법으로 '가변식 다변화' 제안

낙동강 본류에 있는 구미 해평취수장의 모습. 매일신문 DB
낙동강 본류에 있는 구미 해평취수장의 모습. 매일신문 DB

대구 취수원을 구미 해평취수장으로 다변화하더라도 낙동강 수량과 수질에 문제가 없다는 분석이 나왔다.

환경부는 낙동강 물 관리 용역을 통해 취수원 공동이용에 수량이 충분하고, 향후 수질 변화도 거의 없다고 예측했다.

15일 환경부의 '낙동강 유역 통합 물 관리 방안 마련 연구용역'에 따르면 대구 취수원의 다변화 방안은 대구에 필요한 용수 하루 58만8천t 중 28만8천t을 대구의 문산·매곡취수장에서 충당하고, 나머지 30만t을 구미 해평취수장에서 끌어온다는 것이다.

환경부는 "이처럼 구미의 물을 대구로 배분하더라도 가뭄(30년 빈도) 때 용수 부족이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현재 해평취수장 시설용량 하루 46만4천t 규모다. 이곳을 통해 구미시가 지난해 하루 평균 정수한 물은 생활용수 14만8천t과 공업용수 1만5천t 등 모두 16만3천t이다. 30만t가량 여유가 있는 것.

구미는 해평취수장 이외에 하루 16만t 시설용량의 '구미취수장'을 별도로 두고 있다. 이를 통해 지난해 하루 평균 생산한 물은 10만7천t으로, 이 역시 시설활용에 여유가 있는 편이다.

수질 영향도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용역에 따르면 해평취수장 공동이용의 경우 2030년 갈수기 총유기탄소(TOC) 연평균 농도가 달성·고령 지점에서 각각 3.1㎎/ℓ와 3.7㎎/ℓ로 예측됐다. 이는 취수원 다변화를 적용하지 않았을 때의 농도와 차이가 없는 수준이고, 하천 수질 기준으로 2급수(4㎎/ℓ 이하)에 해당한다.

이 같은 수질·수량 문제와 관련 구미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과 대구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은(안실련) 등 지역 시민단체들은 가뭄 때 수량을 줄이는 '가변식 다변화'도 상생 해법으로 제안하고 있다.

김중진 대구 안실련 대표는 "해평취수장을 공동으로 이용하더라도 낙동강 수량·수질에 큰 문제가 없지만, 혹시 모를 주민 우려를 고려해 가변식 다변화를 도입하는 등 대구와 구미가 함께 물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구미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 시 주민들이 우려하는 상수원 보호구역 확대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기존 시설용량 안에 여유 있는 물을 공유하기 때문이다. 구미 해평면과 고아읍 등지의 현재 상수원 보호구역 면적 3.32㎢를 그대로 유지할 전망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