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토지 이거사 터 토지 매입 추진
"주요 사역 부분 발굴 조사 본격화"
"국가 문화재 지정·복원 진행할 것"
'청와대 불상'(보물 제1977호,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을 출토지인 경북 경주로 이전하기 위한 준비작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경주시는 출토지로 추정되는 이거사(移車寺) 터에 대한 추가 발굴조사를 위해 토지 매입을 추진한다.
경주시는 지난 1월부터 이거사 터 발굴 조사에 나섰고, 최근 금당과 강당 터로 추정되는 유적을 확인했다. 그러나 석탑 터 등 주요 사역 부분은 토지 소유자가 동의하지 않아 조사를 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경주시는 조만간 이거사 터 일원 1만6천㎡ 부지를 사들인 뒤 추가 발굴조사와 국가 문화재 지정, 복원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주낙영 경주시장은 지난 12일 이거사 터 발굴조사 현장을 둘러보고 발굴조사를 맡은 신라문화유산연구원 박방룡 원장에게 "청와대 불상을 원래 위치로 옮겨 올 수 있도록 이거사의 본 모습을 밝혀 달라"고 당부했다.
청와대 불상은 1912~1913년쯤 경주금융조합 이사였던 오히라 료조(小平亮三, 또는 고다이라 료조)가 당시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 조선총독 관사가 있던 서울 남산 왜성대로 옮겼다. 이후 1939년 경복궁에 새 총독관저(현 청와대 자리)를 지으면서 지금 위치로 이전됐다.
청와대 불상은 그동안 경주 내 원위치에 대한 논쟁으로 이전 논의가 지지부진했다. 그러나 2018년 10월 일제강점기 문헌인 '신라사적고'(新羅寺蹟考)에서 원위치가 이거사 터란 결정적 증거가 발견돼 논의가 급물살을 탔다. 경주시, 경주시의회, 경주문화재제자리찾기시민운동본부는 2018년 민관추진위원회를 꾸려 청와대 불상의 경주 반환을 위해 힘을 모으고 있다.
이 불상은 2017년 6월 문재인 대통령이 공관 뒤편을 산책하다가 불상 가치를 재평가해볼 것을 지시해 2018년 4월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보물 1977호로 지정됐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