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독립운동 역사에서 상징적인 의미가 큰 안동 '임청각' 역사문화공유관 건립 사업이 계속 표류하고 있다. 대통령까지 나서서 임청각의 완전한 복원과 현창 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지만 국비 지원을 놓고 정부가 발을 빼고 있기 때문이다. 명색이 구국 선열의 얼과 정신이 서린 '현충'(顯忠)의 현장인데도 정부가 지방정부의 몫이라는 원칙만을 앞세워 고개를 가로젓는 것은 매우 유감이다.
지난해 초 안동시는 문화재청·경북도와 함께 임청각 종합정비계획을 수립했다. 그 핵심 사업의 하나가 '임청각역사관' 건립이다. 70억원의 사업비로 지상 2층 규모의 역사관을 짓기로 한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2016년 5월 임청각을 방문해 완전한 복원을 다짐한 데 이어 이듬해 광복절 경축사에서 독립운동의 산실인 임청각의 정신과 교훈을 거듭 거론한 것이 임청각 정비 복원 작업에 속도를 낸 계기다.
그런데 막상 첫발을 떼고 보니 정부의 태도는 전혀 딴판이다. 박물관 등의 건립 사업이 지자체 사무라는 이유로 기획재정부가 국비 지원에 난색을 표한 것이다. 역사관 건립을 위해 국비 예산을 편성할 경우 다른 지자체와의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는 게 이유다. 그동안 정부는 문화재청을 내세워 '근대역사문화공간 재생활성화 시범사업' 공모 등 근대 문화유산에 대한 재조명 등 정비 작업을 서둘러 왔다. 2018년 실시한 공모에서 군산과 목포, 영주시가 대상지로 선정돼 5년간 수백억원씩 예산을 지원받아 사업에 착수했다. 그렇다면 근대역사문화공간 재생사업과 달리 단지 역사관이라는 이유로 임청각 종합정비계획의 핵심 사업을 국비 지원에서 배제하는 것이 과연 옳은 판단인지 묻고 싶다.
역사문화공간으로서의 대표성을 따지자면 임청각은 더 의미 깊고 중요한 유적이라는 점에서 애초 비교 대상이 아니다. 거듭 강조하지만 임청각은 우리의 대표적인 독립운동 유적이다. 정비 복원에 정부가 발 벗고 나서도 시원찮을 판에 차별한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