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2019년도 주거실태조사…내 집 장만 6.9년
지난해 전국의 자가점유율은 58.0%였고,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는 5.3%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생애 최초로 내 집을 마련하는 데 6.9년 걸린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6~12월 표본 6만 가구를 대상으로 한 2019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1일 발표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자가에서 거주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자가점유율은 58.0%로 2006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자가점유율은 2006년 55.6%에서 2014년 최저치(53.6%)로 내려 앉았다가 이후 완만하게 상승하는 추세다.
자가를 보유한 가구(자가보유율)도 2014년 58.0%에서 지난해 61.2%로 올라 2006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올라섰다. 또 전국의 PIR(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은 2018년 5.5배에서 지난해 5.4배로 소폭 감소했다. 다만 임차가구의 PIR(월소득 대비 월임대료 비중)은 15.5%에서 16.1%로 상승해 정책적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주택점유 형태를 보면 ▷자가 58.0% ▷보증금있는 월세 19.7% ▷전세 15.1% 등이다.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비중은 5.3%였다. 전년비 5.7%에서 다소 줄었다. 또 1인당 주거 면적도 2018년 31.7㎡에서 1년 만에 32.9㎡로 늘어나는 등 주거 여건이 향상됐다.
아울러 신혼부부의 주거이동률이 65.0%에서 61.9%로 낮아졌고, 반지하·옥탑방 거주 가구도 2018년 37만6천가구(1.9%)에서 지난해 26만5천가구(1.3%)로 감소했다.
지난해 생애 최초로 주택을 장만하는 데 6.9년이 소요돼 전년 7.1년에 비해 다소 기간이 짧아졌다. 무주택 가구의 무주택 기간도 2018년 11.9년에서 지난해 11.2년으로 줄었다.
현재 주택으로 이사한 이유(복수 응답)로는 ▷시설이나 설비 상향(42.6%) ▷직장·학교 등 직주 근접(30.8%) ▷내 집 마련(27.2%) 등을 들었다.
정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주택시장 안정기조가 더욱 강화되도록 실수요자 보호·투기수요 근절과 양질의 주택공급 확대 정책을 지속 추진할 방침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