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해외로 떠나는 구미 LG, 그동안 과연 뭣 했나

입력 2020-05-25 06:30:00

구미경실련 관계자들이 24일 청와대 앞에서 LG전자 구미 TV 생산라인의 인도네시아
구미경실련 관계자들이 24일 청와대 앞에서 LG전자 구미 TV 생산라인의 인도네시아'폴란드 이전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구미경실련 제공

구미경실련이 24일 청와대 앞 광장에서 LG전자 구미공장의 해외 이전에 대한 대책을 촉구했다. 삼성전자와 함께 그동안 구미 경제의 든든한 한 축이던 LG전자 공장의 나라 밖 이전을 두고 정작 지역사회의 책임 있는 단체장이나 지도층은 침묵하고 있어 구미경실련의 이날 행동은 돋보인다. 하지만 LG전자 공장의 해외 이전이 자칫 또 다른 기업의 탈(脫)구미로 이어지지 않을까 걱정이다.

사실 대구경북의 성장은 1969년 정부가 구미에 조성한 공단에 큰 힘을 입었다. 전국에서 일자리를 찾아 몰린 젊은이들은 구미를 넘어 대구경북의 산업 역동성을 키웠고, 근로자들은 세대를 이어가면서 지역사회를 지켰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일자리 창출 등 어려운 지역 경제에 기여한 몫은 굳이 말할 필요조차 없다. 두 대기업은 구미공단의 역사는 물론, 우리나라 전자산업의 길을 연 개척자로 대구경북으로는 믿음직한 기업이었던 셈이다.

하지만 이윤 추구와 지구촌 차원의 경쟁으로 기업의 나라 밖 진출은 피할 수 없게 됐고, 구미 삼성전자의 베트남 진출에 이은 LG전자의 해외 이전에까지 이르게 됐다. 기업 입장을 이해할 수밖에 없지만 앞날을 생각하면 그렇다고 마냥 손을 놓고 있을 수만은 없다. 구미와 경북으로서는 마땅한 조치에 나서지 않을 수 없다. 이미 공장 이전에 대한 소문이 전부터 나돈 만큼 무엇보다 구미시 당국과 경북도, 그리고 정부는 과연 제대로 대처했는지 되돌아볼 때다.

특히 과거 구미 시민들은 이들 기업이 힘들 때 '주식 1주 갖기 범시민운동' 등의 행동으로 기업 사랑을 실천하며 아름다운 인연을 이어갔지만 이런 행동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제부터라도 달라진 환경에서도 기업이 구미를 떠나지 않고 버틸 수 있도록 노력을 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정부는 최근 발표한 것처럼 떠난 기업의 국내 복귀를 위한 혜택 제공 정책도 절실하지만, 국내 기업의 해외 이전을 막을 과감한 당근도 내놓아야만 한다. 힘든 지역 경제와 기업, 나라 경제를 위해서라도 말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