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경실련이 24일 청와대 앞 광장에서 LG전자 구미공장의 해외 이전에 대한 대책을 촉구했다. 삼성전자와 함께 그동안 구미 경제의 든든한 한 축이던 LG전자 공장의 나라 밖 이전을 두고 정작 지역사회의 책임 있는 단체장이나 지도층은 침묵하고 있어 구미경실련의 이날 행동은 돋보인다. 하지만 LG전자 공장의 해외 이전이 자칫 또 다른 기업의 탈(脫)구미로 이어지지 않을까 걱정이다.
사실 대구경북의 성장은 1969년 정부가 구미에 조성한 공단에 큰 힘을 입었다. 전국에서 일자리를 찾아 몰린 젊은이들은 구미를 넘어 대구경북의 산업 역동성을 키웠고, 근로자들은 세대를 이어가면서 지역사회를 지켰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일자리 창출 등 어려운 지역 경제에 기여한 몫은 굳이 말할 필요조차 없다. 두 대기업은 구미공단의 역사는 물론, 우리나라 전자산업의 길을 연 개척자로 대구경북으로는 믿음직한 기업이었던 셈이다.
하지만 이윤 추구와 지구촌 차원의 경쟁으로 기업의 나라 밖 진출은 피할 수 없게 됐고, 구미 삼성전자의 베트남 진출에 이은 LG전자의 해외 이전에까지 이르게 됐다. 기업 입장을 이해할 수밖에 없지만 앞날을 생각하면 그렇다고 마냥 손을 놓고 있을 수만은 없다. 구미와 경북으로서는 마땅한 조치에 나서지 않을 수 없다. 이미 공장 이전에 대한 소문이 전부터 나돈 만큼 무엇보다 구미시 당국과 경북도, 그리고 정부는 과연 제대로 대처했는지 되돌아볼 때다.
특히 과거 구미 시민들은 이들 기업이 힘들 때 '주식 1주 갖기 범시민운동' 등의 행동으로 기업 사랑을 실천하며 아름다운 인연을 이어갔지만 이런 행동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제부터라도 달라진 환경에서도 기업이 구미를 떠나지 않고 버틸 수 있도록 노력을 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정부는 최근 발표한 것처럼 떠난 기업의 국내 복귀를 위한 혜택 제공 정책도 절실하지만, 국내 기업의 해외 이전을 막을 과감한 당근도 내놓아야만 한다. 힘든 지역 경제와 기업, 나라 경제를 위해서라도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