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앞둔 '안동철도 역사' 90년 담은 기록지 발간

입력 2020-04-29 15:48:21

2021년 철로 이설과 함께 송현동 신축 역사로 이전 앞둬
(사)경북기록문화연구원, 사진·자료 등 담아 사료적 가치

안동역 90년을 담은 기록지
안동역 90년을 담은 기록지 '그곳에 역이 있었네'가 발간됐다. 사진은 기록지에 수록된 1990년대 경북도청 북부지역유치 주민 집회 모습. (사)경북기록문화연구원 제공

경북 안동역이 철로 이설과 함께 내년 역사(驛舍) 이전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사)경북기록문화연구원과 안동민속박물관이 안동역 90년 역사를 담은 기록지 '그곳에 역이 있었네'를 펴냈다.

지금의 운흥동 안동역사는 복선전철 개통을 앞두고 송현동 신축 역사로 이전할 예정이다. 90년 역사를 지닌 안동역과 함께 광장이 품은 유무형의 역사도 사라질 전망이다.

경북기록연구원은 경북선(慶北線) 당시의 '경북안동역' 영업 개시부터 시작해 최근까지의 시대별 변천사, 기차역과 관련된 교통문화와 인물 발자취, 주요 사건 등을 수록했다. 시대 및 테마별로 수집한 사진 자료는 함께 묶어 화보처럼 볼 수 있게 편집했다.

안동역 기록지는 시간대 별로 역에 얽힌 이야기를 풀어냈다. 대하소설 '변경'(이문열작가)에 등장하는 1960년대 안동 풍경, 지역사회에 큰 충격을 준 대형 사건(신 하사 문화극장 수류탄 투척사건) 등도 담았다.

일제는 교통망 장악을 식민통치 첫 걸음으로 계획했다. 일본 헌병·관리를 실어 나르면서도 독립운동가와 식민지 백성을 함께 동승시켰던 양날의 칼이었다.

1931년 낙동강변에 세워진 안동역은 근대 원도심 형성의 중심축이었다. 경북선(1931년 10월 5일 김천~안동 구간 개통) 시대, 역사 증축(1936년 5월 27일), 경경(京慶)남부선(중앙선) 건설 안동사무소 설치(1936년) 등의 궤적을 지니고 있다. 경북선과 중앙선 기차의 도착·발차 과정에서는 각종 사건의 주요 무대였다.

유경상 경북기록문화연구원 이사장은 "기록지를 통해 사라져 간 과거형 사실로만 기억하기보다는 추억으로 마주하게 될 것"이라며 "빠트린 여백과 못다한 퍼즐 조각은 추가조사를 통해 보완하길 기대한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