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100회 이상 미납 361건에 1억4천만원 걷어
국토교통부는 지난 해 11월부터 시행한 민자고속도로 미납통행료 강제징수 1차 시범사업 결과, 100회 이상 미납한 361건에 대해 약 1억 4천만 원의 미납통행료를 징수했다고 19일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4월 현재까지 수납된 361건 중 개별 징수액은 최소 5만 9천400원에서 최대 385만 2천630원이었다. 최다 미납 횟수는 887회로 모두 106만 5천100원을 징수했다. 징수 실적이 가장 많은 구간은 서울외곽순환 북부구간(176건)으로 조사됐다.
100회 이상 미납한 1천455건 중 주소지나 연락처가 확보되어 강제징수 고지가 가능한 715건에 대해 실시한 결과다.
미납통행료 강제징수는 '유료도로법' 제21조에 따라 조세 및 세외수입에 대한 강제징수 절차를 준수했고, 강제징수 예고를 거쳐 전자예금압류, 추심 단계로 진행됐다.
징수 대상 미납통행료는 민자법인이 직접 수납하거나 민자도로센터가 수납했다, 수납·징수한 통행료는 알림톡·SMS․고지서 발부 등에 소요된 비용 일체를 정산한 뒤 각 민자법인에 귀속된다.
국토부는 강제징수 절차가 개시된다는 고지서를 송달 받고도 통행료를 납부하지 않은 건에 대해서는 형사고발을 진행할 예정이다.
요금을 내지 않고 고속도로를 이용한 경우 편의시설 부정이용죄에 해당될 수 있으며, 3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 원 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에 처해질 수 있다.
민자고속도로 사업자가 미납통행료를 회수하는 비율은 2012년 88.2%에서 2018년 77.7% 수준으로 크게 떨어졌다.
이에 국토부와 한국교통연구원 민자도로 관리지원센터, 18개 민자고속도로 법인 간 '미납통행료 수납 효율화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강제징수 시범사업을 벌여왔다. 국토부가 나선 건 사업자가 직접 강제 징수할 법적 권한이 없기 때문이다.
국토부는 하반기에는 50회 이상 미납건에 대해 2차 시범사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또 두 차례 시범사업 과정에서 고속도로 이용자들이 미납통행료를 보다 쉽게 조회·납부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하기로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