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장관 임명 강행해 민심 이반…'TK봉쇄' 발언으로 비수 꽂이
경제·안보 문제도 불안감 커져
대구경북이 4·15 총선에서 미래통합당에 큰 지지를 보낸 이유는 코로나19 대처 및 경제·안보 실정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에 대한 불안감이 작동해 현 정권을 겨냥한 '견제와 균형 심리'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특히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한 여권의 'TK 봉쇄 조치 발언'은 코로나19 피해 직격탄을 맞고 있던 지역민에 커다란 충격을 주기에 충분했다.
당시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수성갑 후보는 "대구경북 시민들의 마음에는 또 하나의 비수가 꽂혔다"며 "왜 이런 배려 없는 언행이 계속되는지 비통한 심정"이라고도 했다. 김 후보 측은 "봉쇄 조치 발언으로 하루아침에 지지율이 20%는 떨어진 것 같다. 도움을 못 줄망정 쓰린 환부에 소금을 뿌려서야 되겠느냐"고 당정청을 원망했다.
김 후보의 반응처럼 'TK 봉쇄 발언'의 진위를 떠나 지역민들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 지배적이었다. 금전적 손실에도 불구하고 상점은 문을 닫고, 자발적으로 거리두기를 실천하는 한편 상점 주인들은 임대료를 안 받으며 고통 분담에 나선 TK를 겨냥한 발언이라곤 믿어지지 않다는 것이다. 당시 TK 민심을 두고 '팽목항 세월호 유가족 심정'에 비유한 이들도 있었다.
정권에 대한 민심 이반 현상은 지난 조국 사태에서 시작됐다는 주장도 있다. 각종 불공정의 상징으로 인식됐으나 법무부 장관에 임명 강행한 모습을 보면서 탄식을 쏟아냈다는 것이다.
이 같은 민심은 악화되는 지역 경제 상황과 맞물리면서 더욱 심화한 것으로 보인다. 반문 정서가 확산하는 상황에서 지역은 물론 전국 경제가 나아질 조짐을 보이지 않자 현 정권에 대한 기대감이 급속히 줄어들었다는 분석이다.
이와 함께 급속한 대북 관계를 추진한 현 정권을 불안하게 보는 심리가 작용했다는 설도 있다. '한미일' 공조라는 기존의 동북아 정서가 무너지고 '북중러'에 급속히 기우는 듯한 외교·안보 움직임에 대해 지역민들이 크게 우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통합당이 좋아서 찍은 것이 아니라 현 정권에 대한 반감이 더욱 컸기 때문'이라고 분석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공천 단계부터 통합당은 사천·막천, 낙하산 논란까지 일어났고, 선거 과정에선 막말과 일부 후보 자질 논란도 벌어졌다. 하지만 지역 민심은 불안한 정국을 더 크게 우려했고, 결국 '차선이 아닌 차악을 선택했다'는 주장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