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학생 코로나19 피해, 대책 마련 나설 때다

입력 2020-04-11 06:30:00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로 대학생 사회도 불만이 높다. 특히 등록금만 수백만원에 이르는 대학생들 경우 갑작스러운 비대면 온라인 수업 전환과 과제물 대체 수업 등에 따른 교육의 질 저하 논란으로 수업권 보장 등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학생들의 목소리가 드세다. 아울러 등교 연기와 온라인 수업으로 자취방 이용 학생은 방세 환불도 어려워 또 다른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무엇보다 불만은 수업의 질 저하이다. 당초 3월 2일 개강이 16일로 연기됐으나 이마저 온라인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는 초·중·고교의 개학 연기 및 온라인 수업 실시로 어쩔 수 없다. 하지만 대학 수업이 충분한 준비도 없이 온라인으로 이뤄지다보니 불만이 적지 않다. 일부 과목은 동영상조차 없고 부실한 강의 자료나 과제로 진행된 탓에 불편하고, 이는 5월 4일 이후 등교 수업 때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학생들의 불만은 지난 6일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가 대학생 5천101명을 상대로 조사한 '코로나19 대학가 수업권 침해 사례 조사'에 고스란히 나타나 3천294명(64.4%)이 온라인 강의에 불만족이란 응답이었다. 예상치 못한 코로나19에 따른 일이긴 하지만 학생 피해를 외면할 수는 없다. 학생들의 불만에 여야 정치권까지 나서 대학(원)생 1인당 100만원 정도의 지원 공약까지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코로나19에 따른 대학생 피해를 외면해서는 안 된다. 일방적 희생을 강요할 수 없다. 상공인과 자영업자 등에 대한 국가의 피해 지원과 달리 마땅한 수입조차 없는 대학생만 지원에서 빼는 것은 형평성에도 맞지 않다. 마침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지난 7일 대학생 지원 방안 마련에 머리를 맞댄 것은 반길 만하다. 늦었지만 학생 고통 완화를 위해 등록금 반환이든 장학금 지원이든 뭐든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부실 강의 불만과 손실은 정부와 대학 당국의 마땅한 후속 조치로 나아질 것이다. 하지만 정상 등교에 맞춰 계약했으나 온라인 수업과 등교 연기로 입주 못한 방세 지출은 또 다른 대학생들의 현실적 부담이다. 이는 민간 계약 행위로, 강요할 수는 없지만 학생 부담 완화를 위해 최근 사회적 공감을 얻은 건물주의 '착한 임대료 운동' 차원에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이는 대학 사회와 대학생 주거지 공동체를 위한 바람직한 일이기도 하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