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산세' 남미·아프리카, 검사 필요한 시약 못구해 초기 대응에 어려움//남아공 보건당국, 직원 20명이 계속해서 제조업체에 전화
미국과 유럽 국가들이 코로나19 대응에 필요한 의료품을 확보하려고 애쓰는 가운데 한편에선 가난한 국가들이 '사재기 경쟁'에서 밀려나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9일 보도했다.
최근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하는 아프리카와 남미 과학자들은 코로나19 방역에 필수적인 진단 키트 구입을 위해 제조사들과 접촉했으나 향후 몇달 안에는 물량을 받기 어려울 것이라며 생산량 거의 전부가 미국과 유럽으로 간다는 설명을 들었다. 결국 후진국들은 유엔아동기금(UNICEF·유니세프) 등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국제기구도 의료품 조달에 어려움을 겪기는 마찬가지다.
가뜩이나 아프리카, 남미, 아시아 일부 지역은 의료체계가 부실하고, 필수 장비마저 갖추지 못해 상대적으로 불리한 상황인데 사재기 경쟁에서조차 밀리며 이중고에 시달리는 것이다. 최근 발표된 한 연구에 따르면 일부 빈국에서는 집중치료가 가능한 병상이 인구 100만명당 1개꼴로 턱없이 부족하다.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연방대학의 아밀카 타누리 박사는 검사에 필요한 시약이 모두 부유한 나라로 가는 바람에 실험실 절반은 사실상 손을 놓은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브라질의 코로나19 감염자 곡선을 보면 확산 시작 단계에 있어 매우 우려된다면서도 "시험을 할 수 없으니 눈이 먼 것과 다를 바 없다"고 하소연했다.
아프리카 국가들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은 과거 에이즈 바이러스(HIV)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설립한 200개 이상의 공공 실험실을 갖췄으나 정작 시약 부족으로 그다음 단계를 진행하는 못하는 상황에 부닥쳤다. 결국 남아공 보건 당국은 '상황실'을 꾸리고, 20명의 직원을 배치해 계속해서 공급업체들에 전화를 걸도록 했다.
전문가들은 이런 의료품 부족 현상이 부자나라들의 사재기 경쟁 때문만은 아니라고 분석했다. 일단 이런 진단 장비를 생산하는 업체 수가 적고, 시약이 부족하지는 않지만 생산 과정에서 필요한 확인과 승인 과정을 거치면서 공급이 늦어진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영국의 진단키트 제조사인 몰로직과 미국 정부의 수출 중단 요구를 물리친 3M 등 일부 민간업체들은 이익을 포기하고, 빈국과 개도국을 지원하기 위해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