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코로나19)의 확산세가 이어지면서 미국, 영국, 일본, 동남아, 중남미, 아프리카 등 세계 곳곳의 국가들이 '사화적 거리 두기'나 이동 제한 봉쇄령 등을 속속 연장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9일(현지시간) 코로나19 확산 억제를 위해 마련한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을 4월 말까지 한 달 더 연장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보름간 설정했던 지침의 만료기간인 이달 30일이 다가옴에 따라 4월 12일 부활절까지 미국의 경제활동을 정상화하겠다는 의지를 꾸준히 피력했지만 결국 보건 전문가들의 반발에 부딪혀 한 발짝 물러섰다.
그는 전문가들의 분석 결과를 인용해 치명률이 2주 이내에 정점에 달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애초 정상화 시기로 염두에 둔 부활절 무렵에 치명률이 최고치에 이를 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지침을 4월 30일까지 연장한다고 밝혔다.
영국 보건 당국도 현재 시행 중인 '봉쇄정책'이 6개월 이상 지속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잉글랜드의 부(副) 최고의료책임자인 제니 해리스는 29일(현지시간) 이같이 말하면서 봉쇄 조치가 너무 빨리 해제되면 제2의 코로나19 사태를 맞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일본도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한국·중국·미국 전역, 그리고 유럽 거의 전역에 체류한 이력이 있는 외국인의 입국을 거부하는 등 '미즈기와'(水際) 대책을 대폭 강화하는 방침을 굳혔다고 아사히신문이 30일 보도했다. 미즈기와는 해외 감염원이 공항이나 항만을 통해 국내로 들어오는 것을 막는다는 의미로, 일본 정부가 추진하는 코로나19 방역 정책의 핵심 중 하나다.
베트남과 라오스 등 동남아 국가들도 코로나19 확산세가 심각해짐에 따라 대도시 봉쇄령과 이동제한조치 연장 등 대책에 나섰다. 베트남은 하노이 최대 종합병원에서 확진자가 대량 발생하자 응우옌 쑤언 푹 총리가 하노이시와 호찌민시에 도시 전체를 봉쇄하는 방안을 준비하라고 지시했다.
라오스는 30일부터 내달 19일까지 국경을 봉쇄해 출입국과 지역 간 이동을 금지하기로 하는 등 사실상 국가 봉쇄령을 내렸다고 이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다만 외국인 출국은 외무부 등 관계 당국이 협의하도록 했다. 태국은 유명 관광지인 푸껫주(州)에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자 30일부터 한 달간 봉쇄령을 내렸다. 네팔도 다음달 7일까지 국가 봉쇄 조치를 1주 더 연장하기로 했다.
중남미에서는 코로나19 확진자가 1만5천명에 육박하고 사망자가 늘어나자 아르헨티나, 온두라스 등 각국 정부들도 이동 제한과 격리령의 연장을 검토하거나 실행하고 있다. 아프리카에서도 코로나19 확산세가 심각해지자 나이지리아가 최대 도시 라고스 등 주요 대도시에 30일부터 2주 간 이동 제한령을 내리는 등 대응에 나섰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