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들 "검사량 늘린 것이 한국의 비결"
해외 각국들 "여행객 전수조사나 여행 제한 없이도 이상적으로 통제" 평가
전세계로 코로나19가 퍼지는 가운데 해외 각국이 감염 확산을 막은 우리나라에서 방역 해법을 찾고 있다. 외신과 해외 의료전문가들은 한국의 의심환자 전수조사와 선별진료소 확충, 확진자 동선 공개 등을 모범 사례로 꼽았다.
주요 외신들은 한국의 코로나19 진단검사가 대규모 전수조사 형태로 이뤄진 점을 주목했다. 확진자와 밀접접촉자뿐 아니라 요양병원, 복지시설 등에 대한 전수조사가 확산세를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뉴욕타임스는 지난 23일 "지금까지 한국에선 진단검사가 30만 건 넘게 이뤄졌는데, 이는 1인당 검사율을 따졌을 때 미국의 40배가 넘는다"고 보도했다. 워싱턴포스트와 월스트리트저널에선 "한국은 하루에 전국 633곳의 검사소에서 2만 명까지 검사가 가능하다"며 드라이브스루와 임시 선별진료소 등의 사례를 보도했다. 코로나19가 확산하는 중에도 600여 곳에 선별진료소를 만들어 많은 사람이 검사하도록 했다는 것.
미국 밴더빌트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윌리엄 샤프너 박사도 지난 15일 미국의 탐사보도 인터넷 언론 프로퍼블리카에 "가능한 한 많은 사람을 검사한 것이 확산세를 숙지게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실험실에서 처리 가능한 검사량도 많았다"고 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한국을 모범 사례로 언급하면서 다른 나라에 한국 모델을 권고하기도 했다. 중국 등 다른 국가처럼 봉쇄나 해외 여행객에 대한 전면 차단 없이 극복했다는 평가였다.
WHO 긴급대응팀 마이크 라이언 박사는 26일 미국 공영라디오 엔피알(npr)에서 "한국처럼 전면 봉쇄 없이도 코로나19를 극복한 사례가 있다"며 "개학이나 여행 등에 대해 전략적으로 대응했고, 이동의 자유를 제한하는 식의 가혹한 방법을 쓰지도 않았다"고 말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BBC와의 인터뷰를 통해 "초기에 감염을 감지해 확산을 사전에 차단하고 병세가 심하지 않을 때 치료할 수 있었다"며 한국의 성공 요인을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