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와 무연관...복합적인 요인 고려해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사망자 4명 중 1명꼴로 치매를 앓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치매환자들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치매환자가 코로나19에 걸렸을 때 일반인보다 위험할 것이라는 것은 직접적 연관성은 없다고 분석했다. 오히려 치매 환자 대부분이 고령인데다 지병을 앓고 있어 고위험군에 속한다고 설명했다.
24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코로나19 사망자 가운데 27.4%인가 치매를 앓았다.
우흥정 한림대동탄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코로나19는 주로 호흡기관이나 소화기관 문제와 관련이 있다"며 "뇌의 기능이나 신경계 이상이 코로나19에 영향을 미쳤다는 보고는 아직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나이가 많은 사람들이 치매에 걸리기 때문에 사망자 분석 결과 치매 환자가 많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며 "치매 환자의 경우 치매뿐만 아니라 다른 지병들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사망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구자성 서울성모병원 신경과 교수 역시 "사망자 중 치매환자가 많은 이유는 이들이 대부분 고령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요양병원 등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해 사망자 중 치매 환자의 비중이 일반적인 상황보다는 높았을 거란 시각도 있다.
실제 치매는 80세 이상에서 발병할 위험이 높다. 코로나19 사망자의 43.3%는 80세 이상으로 전체 평균 치명률은 1.33%지만, 80세 이상 치명률은 12.97%에 달한다.
윤창호 분당서울대병원 뇌신경센터 교수는 "치매환자가 주로 입원하는 요양병원에서 확진자가 많이 나왔다"며 "사망자 중 치매환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이들이 고령이어서 쇠약해진 상태라는 점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수치"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