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조원진 3주만에 결별…"선거전략 입장 차 컸다"

입력 2020-03-22 16:58:39 수정 2020-03-22 17:46:26

김 대표, 오늘 탈당…23일부터 당명은 '우리공화당'으로

우리공화당 조원진 대표(오른쪽)와 자유통일당 김문수 대표가 지난달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통합추진을 발표한 뒤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자유공화당은 이달 3일 창당했으나, 21일 김 대표가 탈당하면서 우리공화당으로 바뀌게 됐다. 연합뉴스
우리공화당 조원진 대표(오른쪽)와 자유통일당 김문수 대표가 지난달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통합추진을 발표한 뒤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자유공화당은 이달 3일 창당했으나, 21일 김 대표가 탈당하면서 우리공화당으로 바뀌게 됐다. 연합뉴스

자유공화당 김문수 공동대표와 조원진 공동대표가 4·15 총선을 앞두고 공천에 대한 견해차로 결별했다. 자유통일당을 이끌던 김 대표는 조 대표의 우리공화당과 합당한지 18일 만인 21일 탈당계를 제출했고, 김 대표가 탈당하면서 23일부터 당명은 우리공화당으로 되돌아간다.

김문수 대표는 22일 매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조 대표와 공천에 대한 이견이 너무 컸다. 나는 지역구 후보를 조 대표 한 명만 내고 나머지는 보수 분열을 피하고자 후보를 내지 말자고 주장했으나, 조 대표는 253곳 모든 지역구에 후보를 내자는 쪽이었다"고 밝혔다.

그는 "그럴 경우 조 대표 정도나 당선 가능하지, 다른 후보들은 미래통합당 후보들을 떨어뜨리는 역할이나 하게 돼 보수를 분열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특히 비례대표 후보 공천에 대해서 조 대표는 최근 입당한 서청원 상임고문, 이주영·김순례 국회의원 등 통합당 공천에서 배제된 현역 의원을 앞 순번에 배치하길 원했다"면서 "나는 17대 총선 때 한나라당 국회의원 공천심사위원장을 하며 비례대표에 현역 기득권 배제 원칙을 만든 사람이다.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한다는 이른바 '태극기 세력'이 이러한 기득권 공천을 해서는 안 된다. '집회'에 많은 기여를 한 신진 인사를 중심으로 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했다.

김 대표는 "당원과 국민 여러분을 실망시켜 죄송하다. 당분간 쉬면서 향후 정치 행보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을 갖겠다"고 말했다.

조원진 대표도 이날 매일신문과 통화에서 "공천 논의 전까지 김 대표와 언성 한 번 높인 적 없을 만큼 관계가 좋았다. 그러나 당의 선거전략에 대해 입장 차가 컸다"고 털어놨다.

그는 "60여 명에 이르는 당 소속 예비후보들이 사무실도 얻고 공약을 개발하는 등 선거 준비 중인데 이들을 버리자는 이야기를 어떻게 수용할 수 있느냐"며 "우리가 보수 분열 세력이 되려고 지역구 후보를 내는 것이 아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뜻을 받들어 통합당에 '하나가 될 방안을 모색하자'고 했으나 그들이 대화를 거부했다. 그 책임은 통합당이 져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조 대표는 또 "법에 따라 5명 이상 현역 의원이 있으면 20억원가량 선거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비례대표 후보를 추천한 정당만 방송토론과 광고를 할 수 있다"면서 "김 대표가 이러한 현실적인 부분은 고려치도 않고 대안 없이 반대하고, 자신은 당과 상의도 없이 비례대표 2번을 신청하는 모습을 보이니 답답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