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고부] 정녕 또 종 되려는가

입력 2020-03-20 19:22:45 수정 2020-03-21 12:40:24

미래통합당 황교안 대표와 심재철 원내대표, 박형준 전 혁신통합추진위원장,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부 명예교수가 2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발대식에서 태극기를 흔들고 있다. 연합뉴스
미래통합당 황교안 대표와 심재철 원내대표, 박형준 전 혁신통합추진위원장,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부 명예교수가 2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발대식에서 태극기를 흔들고 있다. 연합뉴스
정인열 논설위원
정인열 논설위원

'말에서 개·돼지까지.'

조선부터 오늘까지 힘없는 백성은 동물보다 못한 대접을 받았다. 지금도 그러함을 역사는 보여준다. 조선에서는 '종' 즉 노비(奴婢)를 사고팔았다. 그 값이 말보다 쌌다. 이런 종이 많을 때는 인구의 반을 넘었으니 조선은 종의 나라였다. 값싸고 쓰임은 많으니 종은 중요 재산 목록으로 대대로 상속됐다.

동물보다 못한 대접을 받은 백성이라 암흑기 시절, 두 차례 일본 박람회에 전시돼 일본인 눈요깃감으로 전락한 수모도 겪었다. 한국인이 구경거리로 나오자 일본인들이 나들이로 박람회장에 들렀음을 옛 기록은 전한다. 안에서조차 사람 대접을 받지 못한 백성인지라 나라 밖 일본 민족인들 오죽했을까.

또 노비는 임란과 오랑캐 침입의 국난에는 의병 깃발 아래 동원되고 자발적 참여로 목숨을 바쳤다. 물론 난 후 벼슬자리와 공신(功臣) 같은 선물과 영화는 주로 주인 차지였다. 종은 잊혔다. 이런 노비를 경주 최제우는 동학으로 사람답게 대접했고, 동학혁명은 종 제도를 없애는 기틀도 놓았다.

이후 1919년 임시정부는 이런 조선과는 다른 나라를 세울 틀을 짜며 종도, 주인도 없는 백성(民)만이 주인 되고 함께 사는 공화(共和) 민주주의 국가를 꿈꿨다. 그런 이상 국가를 세우려고 옛 종과 그 주인이 한마음 한 몸으로 일제에 맞서 피를 흘렸고 마침내 광복으로 오늘에 이르렀다. 그런 역사가 올해로 101년이다.

무릇 악습은 도지는 법. 가진 자와 관료는 국민을 개·돼지로, 총선 밑 일부 정파는 주인을 섬길 '머슴선발대회'를 열며 되레 군림한다. 특히 대구경북에서 그렇다. 대구경북을 옛 종이나 장기판 졸(卒)처럼 여긴다. 한때 막대기만 꽂아도 그들 후보를 마구 뽑은 짝사랑 탓의 업보이니 자업자득이리라.

이제 그런 오만한 머슴선발대회를 꾸린 책임자가 물러났지만 그렇다고 대구경북을 호구로 보며 등골 빼려는 생각마저 바뀔까. 옛 작태를 보면 분명 아니다. 오롯이 애정을 쏟은 정파에게 존중받지 못하는데 다른 무리의 관심과 배려는 언감생심이다. 그런데도 대구경북이여, 4월 총선에서 정녕 또다시 종 노릇을 자초하려는가.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