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방역 등 '코로나19' 테마주는 오히려 늘어
지난달 20일 국내에서 첫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온 뒤 국내 증시 시가총액이 12조7천억 이상 줄어들며 금융시장도 휘청이고 있다. 중국은 물론 한국에서도 확진자가 늘며 화장품, 호텔·레저, 항공운수 등 업종들의 주가가 급락한 탓이다.
23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아모레G(아모레퍼시픽그룹)의 이달 20일 주가(종가 기준)는 6만8천500원으로 국내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처음 발생한 지난달 20일(9만1천200원)보다 24.89% 하락했다. 이에 따라 시가총액은 7조1천161억원에서 5조6천484억원으로 1조4천677억원이 증발했다.
에프앤가이드의 산업 분류에 따르면 화장품 업체가 상당수를 차지하는 개인생활용품 업종(48개 종목)의 시가총액은 모두 5조565억원 급감했다.
호텔 및 레저 업종도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았다. 강원랜드와 파라다이스의 시총이 각각 6천204억원, 1천728억원 줄었고, 하나투어와 모두투어의 시총 역시 각각 732억원, 435억원 줄어들었다. 호텔·레저 업종(21개 종목)에서는 한 달 사이 시총 1조8천464억원이 사라졌다.
사람들이 아예 집 밖에 나서길 꺼려하면서 여행 인구도 줄어들어 항공사 주가도 연일 하락세다. 항공운수업 10개 종목 시총은 2천601억원이 줄었다.
그 외에도 백화점업계에서 7천728억원, 도소매업에서 2조9천204억원, 섬유·의복업계에서 1조7천74억원, 무역업계에서 2천123억원이 줄어들었다.
특히 이들 업종은 코로나19 확산의 직접적 영향을 받는 곳들로, 시총 감소 규모를 통해 이번 사태의 경제적 충격 정도를 가늠해 볼 수 있다.
반면 코로나19 사태의 수혜를 입는 종목도 일부 있었다. 진단·백신주, 마스크주, 세정·방역주 등 이른바 '코로나19 테마주' 주가는 최근 롤러코스터를 탄 듯 출렁였다.
마스크 생산업체인 모나리자의 시총은 한 달 사이 1천620억원에서 2천926억원으로 1천306억원(80.59%) 증가했고, 역시 마스크를 생산 업체인 오공의 시총은 1천275억원(157.59%) 급등했다.
하지만 금융전문가들은 "테마주에 섣불리 투자했다가는 자칫 낭패를 볼 수 있다"면서 "이들 종목은 단기간에 주가가 지나치게 올라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되는 등 시장경보 조치가 내려진 상태로,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등 생활양식 변화와 관련한 제품과 서비스 등으로 눈을 돌려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