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협 "코로나19 위기경보 '심각' 상향 조정해야"

입력 2020-02-19 16:51:52 수정 2020-02-19 21:41:09

중수본 "아직 격상 논하기엔 일러"…정부 현 단계에서 상향 조정에는 소극적인 반응

노홍인 중앙사고수습본부 총괄책임관(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이 19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코로나19 대응 중앙사고수습본부 상황점검회의 결과 등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노홍인 중앙사고수습본부 총괄책임관(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이 19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코로나19 대응 중앙사고수습본부 상황점검회의 결과 등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19일 대구경북에서 19명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코로나19) 추가 확진자가 나오면서 정부의 '감염병 위기경보 수준'를 가장 높은 단계인 '심각'으로 올려야한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정부의 감염병 위기경보는 '관심', '주의', '경계', '심각' 등 모두 4단계로 나뉜다. 중국 국적의 35세 여성(중국 우한시 거주)이 확진 판정을 받은 지난 1월 20일 '관심'을 '주의'로 상향 조정한 정부는 일주일 만인 27일 4명의 확진자가 추가로 발생하자 대응 수준을 '경계'로 높였다. 메르스가 기승을 부렸던 2015년 '주의'단계를 유지하며 대응했던 것과는 전혀 다른 양상이었다.

문제는 대구 31번째 확진자처럼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지역사회 감염(불특정 감염)이 점점 현실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감염병 대응 체계는 국내 유입된 해외 신종감염병의 '제한적 전파'일 때 '경계'가 유지되고 '지역사회 전파' 또는 '전국적 확산'으로 판단될 때 '심각'으로 격상된다.

지난 18일 서울 용산 임시회관에서 긴급기자회견을 연 대한의사협회도 정부의 감염병 재난 위기 경보를 기존 '경계'에서 '심각'으로 올릴 것을 요구한 바 있다.

최대집 대한의사협회 회장은 "최근 보고된 29·30·31번째 환자의 경우 감염경로를 밝히기 어려운 전형적인 지역사회 감염의 사례로 의심된다"라며 "정부의 1차적인 방역이 실패했다고 보고 지금까지의 전략에 대한 전면적인 수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는 현 단계에선 위기 경보 단계를 상향 조정하는 데에는 다소 소극적인 입장이다. 노홍인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총괄책임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지역사회 확산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면서도 "대구의 경우 방역체계 안에서 접촉자 숫자가 파악된 것이기 때문에 단지 이 숫자만 가지고 위기경보 격상을 논하기엔 빠르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 2016년 12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에 대해 처음으로 위기 경보를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올린 바 있다. 당시 전국 주요도로에 방역 초소가 설치되고 닭과 오리 등 관련 시설을 강제 폐쇄할 수 있게 됐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