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딩'(Wording)이란 단어를 검색해보면 '자기의 생각이나 주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언어 표현'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시중에선 생소할 법한 이 단어를 기자들은 자주 쓴다. 기자는 말을 좇는 직업이다.
유력 정치인 같은 공인의 말 한마디는 기사가 되고 특종이 된다. 말은 해석이 따르고, 그 과정에서 진의 논란이 일기도 한다. 물의를 일으킨 장본인이 '그렇게 말한 적 없다'고 말을 주워 담거나, '그런 말은 했지만 그런 뜻은 아니었다'고 우기기도 한다. 그럴 때 기자들은 "그래서, 정확한 워딩이 뭐였지?" 하고 되짚는다.
언론이 가장 주목하는 워딩의 주인공은 단연 대통령이다. 국민은 담화나 회견 등을 통해 최고 국정 책임자의 철학과 현실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최근 워딩들은 꽤 우려스럽다. 자화자찬만 늘어놓거나, 말과 정책이 엇박자를 내고 있어서다.
문 대통령은 이달 7일 신년사에서 "일자리가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신규 취업자가 28만 명 증가해 역대 최고 고용률을 기록했다"고 했다. 하지만 속사정은 다르다. 경제 허리계층인 30, 40대의 감소가 두드러진 반면, 재정 투입 일자리로 분류되는 60세 이상은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초단시간 일자리 취업자는 역대 최대로 늘었다. 일할 능력이 있지만 '그냥 쉰다'는 인구(취업포기자) 역시 지난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취업포기자 중에는 한창 일할 나이인 20대와 30대가 가장 많다. 이게 현 고용시장의 적나라한 모습이다.
지난해 11월 '국민과의 대화'에서는 부동산 관련 발언이 도마 위에 올랐다. 문 대통령은 "전국적으로 부동산 가격이 오히려 하락했을 정도로 안정화되고 있다"고 장담했다. 많은 국민들이 귀를 의심했다. 남의 나라 얘기인가. 그러고는 한 달 만에 역대 초고강도라는 12·16 규제를 전격 발표했다.
경실련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2년간 전국 땅값이 2천조원가량 올랐다. 역대 정부 최고 수준이다. 이 정부가 실시한 총 18번의 규제는 오히려 부동산을 과열시키는 불쏘시개가 됐다. '집값주도성장' '세금주도성장'이란 비아냥이 나온다. 그럼에도 대통령은 "부동산 투기와의 전쟁에서 결코 지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4월 총선을 앞두고 현 정부의 집값 폭등 비난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밖에 여겨지지 않는다.
문 대통령은 신년 기자회견에서 조국 전 장관에 대해 "지금까지 겪었던 고초만으로 크게 마음의 빚을 졌다"고 애틋함을 나타냈다. 불과 한 달 전 국민과의 대화에서는 "많은 국민들에게 갈등을 주고 분열하게 한 것은 정말 송구스럽다"고 사과했다. 과연 연초 검찰 인사에서 조국 및 청와대 관련 수사를 담당하던 검사들이 대거 좌천되거나 물갈이됐다. 대통령의 진심을 짐작할 법하다.
문 대통령은 지난 26일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의 세 번째 확진자가 국내에서 나오자 "정부를 믿고, 과도한 불안을 갖지 마실 것을 당부"했지만, 바로 다음 날 네 번째 확진자가 나오자 우한에서 입국한 이들에 대한 전수조사를 뒤늦게 지시했다. 최근 14일 이내 우한에서 입국한 이들은 3천 명으로 추산된다. 대통령의 상황 인식이 안일하다는 비판이 곧장 쏟아져 나왔다.
올해부터 문 대통령은 본격적인 집권 후반기로 접어든다. 정부로선 여러 정책 성과에 대한 중압감이 커질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국민은 듣고 싶다. 듣기 좋은 소리, 남 탓만 하는 얘기 말고 부족한 점은 인정하고 국민의 이해를 구하는 대통령의 솔직한 워딩을.
댓글 많은 뉴스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TK 출신 6번째 대통령 되나
김재섭, 전장연 방지법 발의…"민주당도 동의해야"
이재명 "함께 사는 세상 만들 것"…이승만·박정희 등 묘역참배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