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바다에 버리기나 수증기로 방출할 듯

입력 2019-12-23 16:42:15 수정 2019-12-23 16:52:22

전문가 소위, '해양 방출·대기 방출·병행안' 등 3개안 제시
고형물로 만들어 지하에 매설하는 방안 등은 배제하기로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 당시 폭발사고를 일으켰던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발생하는 방사능 오염수 처분 방법이 해양방출, 수증기방출 및 이들 두 가지를 병행하는 안 등 3가지로 좁혀졌다. 이에 따라 시기가 문제일 뿐 후쿠시마 주변 지역 주민들과 한국 등 이웃나라가 반대하는 해양 방출이 단행되는 쪽으로 사실상 결론이 났다.

일본 경제산업성(경산성)은 23일 오염수처리대책위원회 전문가 소위원회가 오염수 처분 방안으로 제시한 이들 3가지 안을 공개했다. 주무 부처인 경산성이 오염수 처분 방안을 찾기 위해 2016년 11월부터 13명으로 가동한 전문가 소위는 탱크에 보관된 오염수의 방출을 전제로 ▶물로 희석 시켜 바다로 내보내는 해양(태평양) 방출 ▶증발 시켜 대기로 내보내는 수증기 방출, 그리고 두 가지를 병행하는 제3안을 함께 제시했다.

소위는 초안 보고서에서 실현 가능한 두 개의 안 중 해양방출은 일본 국내 원전에서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다며 국가가 정한 기준치 이하로 희석해 바다에 흘리는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환경단체 등은 정상적인 원전에서 나오는 오염수와 방사성 물질 누출 사고를 일으킨 현장에서 나온 오염수의 처리수는 똑같이 볼 수 없다며 오염수의 해양 방출에 우려를 나타내며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어업을 영위하는 후쿠시마 주민들도 이미지가 나빠질 것을 걱정해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일본 정부가 '처리수'로 부르는 오염수는 인체에 치명적인 세슘-137, 스트론튬을 포함한 방사성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채 남아 있어 환경단체들은 방류해선 안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 부지에는 현재 1천개 가까운 대형 탱크에 약 110만t의 오염수(처리수)가 저장돼 있다. 이 오염수는 하루 평균 약 170t씩 증가하는 상황이어서 후쿠시마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향후 20만t의 저장용량을 증설할 계획이다. 하지만 앞으로 30~40년 걸리는 장기간의 폐로 과정에서 작업 공간 확보 등을 위해 전체적인 공간 재배치를 해야 하기 때문에 그 이상의 증설은 어렵다고 밝히고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