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치킨게임 속 대화 불씨 살릴까

입력 2019-12-15 17:59:16

문재인 대통령 오늘 미 비건 대북특별대표 접견

미국 국무부 대북 특별대표인 스티븐 비건 국무부 부장관 지명자가 15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을 통해 입국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국무부 대북 특별대표인 스티븐 비건 국무부 부장관 지명자가 15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을 통해 입국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북한이 '중대한 시험' 등을 단행하며 도발 수위를 높여가고 있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 특별대표를 만날 예정이어서 이목이 집중된다.

'촉진자' 역할을 자임해온 문 대통령이 미국의 대북 비핵화 협상 '키맨'을 15개월만에 단독 접견한다는 점에서 냉각 조짐의 한반도 정세와 관련, 돌파구가 만들어질지 주목된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과 비건 대표가 16일 오전 11시 청와대 본관 접견실에서 만날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 비건 대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대북 협상의 권한을 상당부분 위임받은 인물이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한미 간 긴밀한 공조를 재확인하고, 북미 간 대화의 끈을 이어가면서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기 위한 방안에 집중할 전망이다.

앞서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30분간 통화를 하며 대화 모멘텀 유지와 이를 위한 한미정상 간 협의 필요성에 공감한 바 있다.

하지만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 발사 카드로 압박하면서 북미 간 대립각이 날카로워지고 있어 북한의 동향에 대한 정보 공유와 대처 방안 논의가 최우선시될 것으로 보인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비건 대표의 방한 기간 중 공식적인 대북 메시지를 내놓을 가능성이 있어 이 메시지를 문 대통령과 사전에 공유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문 대통령으로선 북미 관계가 과거와 같은 극한 대치 상황으로 회귀할 우려가 없지 않은 만큼 비핵화 대화 재개를 위한 실마리를 찾는 게 절박하다.

다만, '연말시한'을 설정한 북한과 이를 정면으로 받아치는 미국 사이의 치킨게임 속에서 대화 불씨를 되살리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