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부처 수습사무관이 제시한 경북 발전 방안은?

입력 2019-12-02 17:49:56 수정 2019-12-02 22:00:44

경북도 2일 수습사무관 경북발전 정책보고회 개최…'젊은 생각으로 경북발전 이룬다'

2019 수습사무관 경북발전 정책보고회에서 이철우(맨 왼쪽) 경북도지사가 발언을 이어가고 있다. 경북도 제공
2019 수습사무관 경북발전 정책보고회에서 이철우(맨 왼쪽) 경북도지사가 발언을 이어가고 있다. 경북도 제공

2일 경북도청 한 회의실에는 젊은 목소리와 열기가 가득했다. 경북도청에서 수습 중인 중앙부처 사무관들이 도정 발전 방안을 발표하는 '경북발전 정책보고회'가 개최됐기 때문이다.

지난 8월 31일부터 경북도에서 수습 중인 사무관 15명은 5명씩 세 팀(새바람·행복·경북)을 구성해 도정발전 방안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새바람 팀은 지방소멸 위기에 놓인 경북의 현실을 극복하고 농촌을 되살리기 위해 청년이 농촌에서 새 삶을 찾도록 돕는 '농(農)카데미'를 우선 제안했다.

이어 농촌으로 이주한 청년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팜토(농업멘토)·팜티(농업멘티) 간 멘토링 사업, 기존 주민과 청년이 융화하며 공동체를 형성하는 '청년농부 야시장' 등을 아이디어로 내놨다.

2019 수습사무관 경북발전 정책보고회에서 새바람 팀이
2019 수습사무관 경북발전 정책보고회에서 새바람 팀이 '청년이 살고 싶고 오고 싶은 농촌 만들기'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행복 팀은 외식산업 활성화 방안에 집중했다. 구체적으로 경북의 전통주와 한옥스테이를 연계한 '365일 전통주 페어'를 제안하는 한편 주방을 공유하며 경북의 특색을 담은 음식을 배달하는 '배달의 메카 공유주방'도 제시했다.

경북 팀은 20대 관광객 유치로 경북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 기존 이미지를 탈피한 특화거리 개발(Hot Spot), 이동편의성 증진을 위한 택시사업 개발(Inter Spot), 20대를 겨냥한 마케팅 전략(Twenties' Spot)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특히 구체적인 특화거리의 하나로 경북 안동역 주변을 근대와 현대가 결합한 콘텐츠 거리로 개발하는 '래(來)일(Rail)의 길'을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수습사무관 대표인 류도현 사무관은 "수습근무 기간 경북에서 보내며 경북이 처한 어려움을 알았고, 과제 발표를 준비하며 경북의 관광자원, 특화 산업시설을 활용한 무한 성장 가능성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경북에서 보낸 시간을 잊지 않고 경북을 제2의 고향으로 삼아 부처 발령 후에도 관심을 두겠다"고 말했다.

이철우 도지사는 "중앙부처 사무관 시각으로 제안한 도정 발전 아이디어를 적극 반영하겠다"면서 "1월 중순 중앙부처에서 근무할 예정인데 국가 정책 수립 시 경북에서의 경험이 큰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