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이자 상환 부담 "20년만에 최고 수준"

입력 2019-11-24 17:49:44 수정 2019-11-24 17:54:06

가계부채가 민간소비 위축할 우려…국내총생산 밑도는 민간소비 증가세

24일 통계청과 한국은행에 따르면 도시근로자 가구의 이자비용 지출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이자상환비율이 올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3.2%를 유지했다. 이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2분기 이후 2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연합뉴스
24일 통계청과 한국은행에 따르면 도시근로자 가구의 이자비용 지출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이자상환비율이 올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3.2%를 유지했다. 이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2분기 이후 2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연합뉴스

가계의 소비 여력에 비해 이자를 갚아야 하는 부담이 최근 몇 년 사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부채가 소득보다 더 빠르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자상환 부담 증가가 민간 소비를 위축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4일 통계청과 한국은행에 따르면 도시근로자 가구의 이자비용 지출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이자상환비율은 올해 3분기 3.2%를 기록했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2분기(3.3%) 이후 2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자상환비율 상승은 가계가 소비할 수 있는 여력보다 이자비용 부담이 커졌다는 의미이다.

이자상환비율은 한은이 기준금리를 역대 최저치(연 1.25%)로 내린 시기인 2017년 1분기에 2.1%까지 낮아졌다가 이후 오름세로 돌아서 2년 반 동안 1.1%포인트 상승했다. 최근 가계대출 금리가 반등했고,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소득 증가속도보다 높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이자상환비율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가계부채가 민간소비를 위축한다는 점이다. 한은이 2012년 발표한 '부채경제학과 한국의 가계 및 정부부채'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이자상환비율 임계치는 2.5%로 추산되고, 임계치를 넘을 경우 가계의 이자상환 부담 증가로 소비위축 압력이 가중된다. 도시근로자 가구의 이자상환비율은 2017년 4분기(2.5%) 이후 이 보고서가 추산한 임계치를 계속 웃돌고 있다.

현재 소득보다 부채비율이 상당히 높고, 민간 소비증가세가 더딘 것이 현실이다. 우리나라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올해 2분기 말 기준 186.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5개 회원국 평균치(130.6%·2018년 기준)를 훨씬 넘어선다. 2013~2018년 우리나라 민간 소비는 연 평균 2.35% 증가했는데, 이는 같은 기간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3%(연평균)를 밑도는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최근과 같은 경기 하강기에는 가계부채가 소비 활성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