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기 추락 사고 나흘째...실종자 구조·동체 인양 총력

입력 2019-11-03 07:19:04 수정 2019-11-03 09:01:18

독도 부근 풍랑 예비특보…기상악화로 인양·수중수색 차질 우려

소방헬기 추락사고 나흘째인 3일 오전 독도 인근 사고 해역에서 해군 청해진함이 실종자를 찾기 위해 수색 작업을 재개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소방헬기 추락사고 나흘째인 3일 오전 독도 인근 사고 해역에서 해군 청해진함이 실종자를 찾기 위해 수색 작업을 재개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독도 소방헬기 추락사고 나흘째인 3일 실종자 구조와 동체 인양을 위한 수색 작업이 재개됐다.

수색당국은 전날 사고 해역에서 발견된 실종자 시신 3구 중 남성 시신 2구를 수습, 3일 오전 8시쯤 울릉도로 이송했다. 해경은 시신 2구의 신원을 확인한 뒤 가족 요청에 따라 대구나 포항 등으로 이송할 방침이다.

이제 수색 당국은 나머지 4명의 실종자 구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달 31일 독도 인근에서 응급환자를 이송하다 추락한 중앙119구조본부 헬기의 기체 모습이 2일 공개됐다. 연합뉴스
지난달 31일 독도 인근에서 응급환자를 이송하다 추락한 중앙119구조본부 헬기의 기체 모습이 2일 공개됐다. 연합뉴스

동해지방해양경찰청은 이날 오전 해군 청해진함에서 심해잠수사들을 투입, 수중 수색과 동체 인양을 위한 정밀 탐색을 재개한다.

밤사이 조명탄 300발을 투하한 해상 수색은 동체 발견 지점 반경 2천900여㎢를 9개 권역으로 나눠 함정·선박 15척과 항공기 4대를 동원해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수색 당국은 지난 2일 사고 해역 탐색 결과 헬기 동체가 거꾸로 뒤집혀 프로펠러가 해저 면에 닿아 있는 상태였고, 헬기 꼬리는 동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돼 90m 떨어진 곳에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어 꼬리 쪽에서 발견된 남성 시신 2구를 포화 잠수를 통해 지난 2일 오후 9시 14분쯤 인양·수습했다.

청해진함으로 인양된 시신 2구는 해경 함정을 통해 울릉도로 이송한 뒤 소방청에서 가족과 협의, 원하는 병원으로 옮길 예정이다.

수색 당국은 지문 및 가족 확인을 거쳐 최종적으로 시신 2구의 신원을 확인할 방침이다.

또 기상 상황을 고려해 동체를 인양할 예정이다.

관건은 기상 여건이다. 기상청은 사고 해역 파고가 이날 오전 1.5∼3.5m, 오후 2∼3.5m 높이로 일 것으로 전망했다. 독도 부근 동해 중부 해상에는 풍랑 예비특보가 내려진 상태다.

당국 관계자는 "기상 조건이 악화하면 수색 현장에 투입한 청해진함을 포항 등으로 이동시킨 뒤 다시 배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