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분쟁 완화 조짐에…대출금리 상승세

입력 2019-10-30 17:51:09 수정 2019-10-30 20:00:07

9월 대출금리 저점 찍고 반등…안전자산 선호도 감소, 국내채권 늘며 가격 하락

지난 8월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던 은행 가계대출 금리가 지난달 하락세를 멈추고 상승했다. 국제 무역분쟁 완화와 미국 금리 인하 속도 둔화 예상 등으로 채권시장 금리가 올랐기 때문이다. 정부의 안심대출과 국채 발행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2019년 9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평균 연 3.02%로 전달보다 0.10%포인트(p) 올랐다. 가계대출 금리는 지난해 말 이후 하락세를 지속하면서 지난 8월 2.92%로 1996년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었다.

가계대출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9월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2.51%로 8월보다 0.04%p 올랐다. 일반신용대출은 0.23%p 오른 3.86%, 보증대출은 0.25%p 오른 3.20%를 보였다. 예·적금 담보대출은 0.06%p 오른 연 3.08%, 집단대출은 0.12%p 상승한 2.88%를 나타냈다.

은행 대출금리의 반등은 시장금리 상승세가 반영한 결과다. 채권시장 금리는 지난 7월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연1.75→1.50%) 시기를 전후해 하락세를 지속했으나 8월 말을 기점으로 상승세로 돌아섰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완화되고, 미국의 금리 인하 속도와 폭이 기대에 못 미칠 것이란 예측이 나오면서 국내·외 금융시장에서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줄어든 영향이다.

한은 집계에 따르면 1년 만기 은행채(신용등급 AAA)의 월평균 금리는 8월 1.32%에서 9월 1.46%로 0.14%p 올랐다. 5년 만기 은행채 금리는 같은 기간 연 1.37%에서 연 1.54%로 0.17%p 상승했다.

안심대출의 영향도 있다. 정부는 지난달 신청받은 서민형 안심전환대출을 실행하고자 오는 12월부터 20조원 규모의 주택저당증권(MBS)를 발행할 예정이다. MBS가 채권시장에 풀리면 은행들의 채권 수요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돼 채권 가격이 내려가면서 금융채와 국고채 금리가 올랐다.

또 정부가 지난달 추경집행을 위해 3조원이 넘는 국채를 발행했고, 내년에 130조원에 달하는 국채 발행 계획을 밝힌 점도 채권시장에 영향을 줬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