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에 의하면 전체 인구에서 만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이 7%를 넘으면 '고령화사회'(aging society), 14%를 넘으면 '고령사회'(aged society), 그리고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super-aged society)라고 한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65세이상 노인 인구 비중이 14%를 넘어서면서 본격적인 고령사회로 진입하였다. 이에 따라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퇴행성질환인 척추관협착증에 대한 관심이 필요해졌다.
우리 몸의 척추뼈 뒷부분에는 파이프처럼 긴 통로가 있어 척추신경과 신경가지가 지나간다. 이 통로를 척추관이라고 하는데, 노화에 의해서 또는 다른 여러 요인에 의해 좁아질 수 있다. 그리고 좁아진 척추관이 그 속의 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한다. 이를 척추관협착증이라 한다.
척추관협착증은 보통 척추신경의 물리적 압박, 척추신경 주위의 물리-화학적 염증상태, 해당 척추 마디 및 척추신경 주변의 혈류장애, 자율신경기능 저하 등 네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한 두 가지가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통상적으로 수술을 포함해, 다양한 비수술적 치료를 받은 후에도 통증이 재발되는 사례가 많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환자들이 치료가 쉽지 않은 질환으로 생각한다. 이처럼 척추관협착증은 수술 및 시술을 받더라도 재발 가능성이 크며 완치가 쉽지 않은 질환이다. 척추관협착증을 보다 확실히 치료하기 위해서는 통증의 근본 원인인 추간공 내 염증을 완전히 제거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추간공확장술은 먼저 척추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추간공을 넓혀준다. 이후 추간공 주위의 인대를 긁어 제거하여 엉겨 붙어있는 유착을 박리하고, 넓어진 추간공을 통해 염증유발물질을 척추관 및 추간공 밖으로 배출해낸다. 이를 통해 척추관 및 추간공내 염증을 제거하고 좁아졌던 추간공을 확장함으로써 통증의 원인인 염증유발물질을 제거하여 재발 우려가 거의 없게 된다.
광혜병원 박경우 대표원장은 "시술 과정은 부분마취로 진행되어 환자의 심리적 부담이 적은 편이다. 옆구리를 3~4mm 절개해 특수 키트를 추간공까지 삽입한 후 염증과 유착을 제거하게 된다. 시술 시간이 10분~15분 정도로 짧고 시술 후에는 바로 일상복귀도 가능하다. 후유증이 거의 없어 고령 및 만성질환 환자들에게도 시행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