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자유구역 투자도 수도권 쏠림 '심각'

입력 2019-10-02 17:36:34

산업통상자원부 국회 제출 자료 보니 외국인 직접투자 90% 인천에 편중
대경경자청은 2% 선에 그쳐... "지방 지원책 마련 절실"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전경. 대경경자청 제공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전경. 대경경자청 제공

지난해 전국 경제자유구역별 외국인직접투자(FDI) 금액 분석 결과 인천에 90% 가까운 금액이 몰려 수도권 쏠림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은 7개 경제자유구역 가운데 금액 기준 3위, 증감률 기준 2위를 차지했으나 국내 전체 투자액의 2% 수준에 그쳐 격차를 줄일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어기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받은 '경제자유구역별 투자 유치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경제자유구역들이 유치한 FDI 액수는 11억8천640만달러(약 1조4천254억원)였다. 경제자유구역은 해외 투자자본과 기술 유치를 위해 세제 감면 및 규제 완화 등 특별한 혜택을 부여한 곳이다.

인천이 지난해 10억6천511만 달러를 유치, 전체 투자금액의 89.8%를 차지했다. 이어 부산·진해가 7천876만달러, 대구경북이 2천435만달러, 광양만권이 1천428만달러를 유치했다. 반면 충북과 황해는 각 325만달러, 63만달러에 그쳤고 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은 FDI 투자금액이 2016년부터 3년째 없었다.

2017년 대비 증감률은 인천이 324.1%, 대구경북이 140.4%, 황해는 100% 늘었지만 광양만권과 부산·진해는 61.4%, 52.4% 감소하며 희비가 엇갈렸다.

이인선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장은 "공항과 항만 여건이 외국인 투자유치의 핵심 기준이 되기 때문에 인천이나 부산권에 비해 대구경북은 제약이 있다"며 "경제자유구역에서도 지역 균형발전이 이뤄질 수 있도록 중앙정부 차원에서 투자기업 현금지원 국비 비중 확대나 지방도시 정주여건 개선 촉진 등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