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후폭풍'에 중도층·20대 이탈 '뚜렷'…수도권 지지층 흔들

입력 2019-09-20 17:08:39

文대통령 국정지지도, 취임후 최저치로…2년 4개월만에 '반토막'
중도·무당층·20대·학생·수도권에서 이반 두드러져

'조국 후폭풍' 속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가 취임 후 최저치로 내려갔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잇따라 발표됐다. 중도층과 무당층, 청년층이 조국 법무부 장관 임명 이후 크게 흔들리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갤럽은 이날 정례 조사결과(지난 17∼19일 전국 유권자 1천명 대상, 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 ±3.1%포인트)를 발표하고 문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도(긍정평가)는 40%로, 취임 후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날 발표된 리얼미터 여론조사(16∼18일 2천7명 대상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2.2%포인트)에서도 역시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긍정평가)는 43.9%로 취임 후 최저치였다.

무당층과 중도층, 20대의 이반 현상이 두드러진다. 무당층의 경우 긍정 평가(22%)보다 부정 평가(61%)가 39%포인트나 더 높게 나타났다. 특정정당을 지지하지 않고 중간지대에 머물고 있던 무당층 내에서 여권에 등을 돌리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연령별로보면 20대(긍정 38%·부정 47%)와 학생(긍정 30%·부정 53%)도 문 대통령에 대한 부정적 의견이 더 높은 상황이다. 조국 정국을 거치며 이들 세대가 가장 민감해하는 입시비리 의혹이 불거진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갤럽조사를 기준으로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를 살펴보면 취임 첫해인 2017년 6월 사상 최고치인 84%를 기록한 뒤 2년 4개월 만에 '반토막' 난 모양새다.

국정 지지도는 취임 이후 오르락내리락하며 70% 안팎을 유지하다 4·27 남북정상회담과 판문점 선언 직후인 지난해 5월 4일 83%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최저임금 등 소득주도성장 정책과 경기불안 문제로 지지도는 하락세로 전환, 같은 해 9월 7일 49%까지 떨어졌다가 9·19 남북공동선언 직후인 9월 21일 2주 만에 61%로 단숨에 반등했다. 그 뒤 또다시 하락세를 이어가던 국정지지도는 장관 후보자 2명이 인사청문 과정에서 낙마했던 무렵인 올해 4월 5일 41%를 기록한 뒤 보합세를 보이다 이날 40%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임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경우 취임 2년 차인 지난 2014년 12월 3주 차에 처음으로 국정지지도가 40% 아래(37%)를 기록했고, 부정 평가가 50%를 넘었다. 당시는 청와대 문건 유출 사건과 정윤회 씨의 '비선실세'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인 때였다. 이듬해인 2015년 1월 4주 차에는 '연말정산 대란' 등의 여파로 국정 지지도가 29%까지 급락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