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최저치 기록한 文대통령 지지율…국민이 보낸 경고장이다

입력 2019-09-20 06:30:00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취임 후 최저치로 떨어졌다. 반면에 부정 평가는 최고치를 기록했다. 리얼미터가 tbs 의뢰로 전국 성인 2천7명을 대상으로 문 대통령 국정 수행 평가를 물은 결과(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2.2%포인트) 응답자의 43.8%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전주 대비 3.4%포인트 내린 것으로 취임 후 최저치다. 그에 반해 '잘못하고 있다'고 답한 사람은 3%포인트 오른 53.0%로 취임 후 최고치로 치솟았다.

문 대통령 지지율이 최저치로 떨어진 직접적 원인은 민심을 거슬러 조국 법무부 장관 임명을 강행한 탓이다. 문 대통령을 비롯한 집권 세력은 조 장관 임명 후폭풍이 시간이 지나면 잦아들 것으로 기대했지만 오히려 '조국 사태'로 말미암은 민심 이반이 가속하고 있다. 검찰 수사를 통해 조 장관 가족의 구체적 혐의들이 속속 드러난 것은 물론 조 장관이 거짓말을 한 정황들도 쌓이고 있다. 검찰 개혁 부적격자라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문 대통령의 장관 임명 강행 당위성이 뿌리째 흔들리고 말았다. 조 장관을 무조건 감싸는 여권의 볼썽사나운 행태도 민심 이반을 촉발했다. 더불어민주당은 물론 정의당 지지율이 하락한 것이 이를 방증한다.

조 장관 임명 강행은 문 대통령의 '마이웨이 국정 운영'의 결정판이라 할 수 있다. 숱한 부작용과 폐해가 누적됐는데도 문 대통령은 소득주도성장, 탈원전, 북한 문제 등 국정 전반에서 고집을 버리지 않았다. 문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 최저치로 하락한 것은 이런 독선적인 국정 운영에 대해 국민이 보낸 '경고장'이라 할 수 있다.

임기 반환점을 앞둔 문 대통령은 갈림길에 섰다. 국정 운영 기조를 대전환해 남은 임기 동안 원활하게 나라를 이끌어 가느냐, 레임덕의 늪에 빠져 허우적대느냐는 두 길이 앞에 놓여 있다. 얼토당토않은 꼼수로는 민심을 되돌리기 어렵다. 마이웨이 국정 운영 방식을 버리지 않는 한 문 대통령과 민주당 지지율은 하락할 수밖에 없다. 조 장관을 경질하고 국정 운영을 혁신하는 것만이 민심을 붙잡는 길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