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절반 "채용에 학벌 학벌 참고 불가피"

입력 2019-09-17 17:18:33 수정 2019-09-18 06:45:31

지역 중소기업 "공기업 같은 채용 절차 마련 어려워 학벌 참고 불가피"

신입 직원 채용 시 학벌이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한 기업이 절반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인 제공
신입 직원 채용 시 학벌이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한 기업이 절반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인 제공

공기업과 금융권을 중심으로 최근 블라인드 채용이 확산되고 있지만 여전히 국내 기업 절반은 채용 과정에서 지원자 학벌을 참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은 337개 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48.1%가 좋은 학벌이 채용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고 17일 밝혔다. 다른 자격 조건이 모자라도 학벌이 우수해 채용한 직원이 있다고 밝힌 곳도 21.0%나 됐다.

학벌이 채용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51.9%(복수 응답)가 '지원자가 노력한 성과여서'라고 답했다. '학벌에 따른 역량 차이가 있어서'(43.2%), '객관성이 있는 조건이어서'(37.7%), '채용 시 만족도가 높아서'(11.7%), '활용 가능한 인맥이 많아서'(9.3%) 등이 뒤를 이었다.

국내 기업들이 가장 선호하는 지원자 출신 학교는 '인 서울' 대학이었다. 응답 기업 45.7%가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을 선호한다고 밝혔다. 지방거점국립대학 출신 지원자를 선호한다는 곳은 24.1%에 그쳤다.

그러나 학벌이 실무역량으로 이어진다고 생각하는 곳은 많지 않았다. 응답 기업 59.3%가 '학벌과 업무 능력 간 상관관계가 없다'고 답했고, 24.6%만이 '학벌이 좋으면 업무능력도 뛰어나다'고 답했다. 입사 뒤에는 학벌을 상세히 파악하지 않는다는 곳도 16.0%에 달했다.

대구 한 자동차부품업체 인사담당자는 "대구 4년제 대학 출신 지원자가 많은데 이 중에서도 출신 대학을 참고한다. 학력을 성실함의 척도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공기업처럼 필기시험, 인적성 검사 등 채용절차가 많지 않아 학력 외에 다른 평가 요소가 없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