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추석 연휴 전 군위·의성 상생 위한 최종 중재안
항공클러스터 430만㎡ 중 330㎡는 미선정 지역으로…8천억원 규모로 사업 추진
경상북도가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건설에 따른 각종 배후시설이 들어설 항공클러스터의 약 70% 이상을 공항이전 후보지 중 탈락지(미선정 지역)에 조성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최근 군위·의성군이 공항이전 후보지 선정 기준을 두고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평행선을 달리는 가운데 어느 한 곳이 공항이전 후보지로 선정되지 않더라고 양 지역이 상생하는 사업으로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이는 추석 연휴 이후가 통합신공항 이전후보지 연내 선정을 위한 골든타임이자 마지노선인 만큼 경북도가 내놓는 최종 중재안(매일신문 8월 29일 자 1면)이 될 것으로 보인다.
10일 경북도에 따르면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건설사업은 크게 공항 활주로, 항공터미널 등 공항건설 사업과 각종 산업단지, 주거시설 등 항공클러스터 조성 사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지금까지 공항이전 후보지를 두고 군위 우보와 의성 비안-군위 소보 두 개 후보지만 이름을 올렸을 뿐 통합신공항 항공클러스터 입지는 구체적으로 거론된 적이 없다.
이와 관련, 경북도가 항공클러스터 입지의 약 77%를 미선정 지역에 조성하기로 내부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도는 통합신공항 항공클러스터 전체 약 430만㎡(130만 평) 가운데 약 100만㎡(30만 평)는 통합신공항 선정지역에 조성하고 나머지 약 330만㎡(100만 평)는 공항에서 10km가량 떨어진 미선정 지역에 만들 계획이다.
군위군 우보가 선정되면 의성군을, 의성 비안-군위 소보 공동후보지가 선정되면 군위군을 탈락지로 본다.
경북도는 통합신공항 이전후보지로 선정된 지역은 이미 추진 중인 이전지원사업 3천억원 규모와 함께 공항 입지에 따른 자연적인 개발효과로 2천500억원의 사업이 추진될 것으로 본다.
여기에 항공클러스터 약 100만㎡ 조성(항공전자부품·항공정비MRO·항공물류복합단지 등)에 2천500억원이 필요해 최종 8천억원 규모의 사업이 이전후보지 선정지역에 돌아갈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미선정 지역의 경우에도 약 330만㎡의 항공클러스터 조성(항공부품소재·항공엔지니어링서비스산업·항공서비스전문인력양성센터 등)에 8천억원가량 필요할 것으로 전망돼 결과적으로 선정·미선정 지역 모두 비슷한 규모의 사업이 추진될 것으로 보고 있다.
통합신공항 건설에 따른 도로, 철도 등 각종 광역교통망 구축 시에도 미선정 지역에 들어설 항공클러스터까지 연결하도록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통합신공항 건설은 단순히 공항 하나만 이전하는 게 아니라 항공클러스터도 함께 조성하는 사업으로 군위·의성군 모두에게 새로운 도약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