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의 내부 갈등이 징계 논란으로 표출되면서 '분당'이 한층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평화당은 오는 31일 양미강 최고위원에 대한 징계위원회를 열고 징계 수위 등을 논의한다.
정치권에 따르면 평화당 일부 당원은 '양 최고위원이 직무를 성실히 수행하지 않는다', '유성엽 원내대표가 신당 창당 논의로 해당 행위를 한다'며 비당권파 인사에 대한 징계 청원서를 냈다.
이에 평화당은 양 최고위원에 이어 유 원내대표에 대한 징계위도 조만간 개최할 방침이다. 또 징계 청원이 제출되지 않은 최경환 최고위원에 대해서도 직권으로 징계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이는 유 원내대표 등 비당권파 최고위원들이 반대함에도 정동영 대표가 측근인 박주현 위원을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임명하는 등 당을 일방적으로 운영한다며 지난달 17일부터 최고위에 불참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에 이어 유승민·이혜훈 바른미래당 국회의원도 최근 당 윤리위원회에 제소됐다. 이는 두 의원이 혁신위를 만나 손 대표 퇴진을 요구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데 따른 것이다.
앞서 손 대표는 이러한 의혹을 조사해 당규 위반 사실이 입증되면 해당 의원을 징계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반대로 손 대표는 '혁신위 안건의 최고위원회 상정을 거부하는 것은 윤리규범 위반'이라는 이유로 24일 혁신위에 의해 제소됐다.
두 당에서 연이어 일어나는 징계 관련 사안의 공통점은 당권·비당권파 사이의 '힘 대결'이라는 것이 정치권의 지배적 시각이다. 당 대표 사퇴를 둔 내부 갈등이 시간이 흐를수록 격화되는 터라 징계 여부와 상관없이 당 내홍만 깊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함께 나온다. 징계 결정이 당권·비당권파 사이 분쟁 격화가 자연히 분당 절차로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