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월정교 등 핵심 유적 8개만 해당…'범위 확장해야' 목소리
문화재청 '신라왕경사업 발전방안' 연구용역 진행…'검토 중'
신라왕경 특별법 국회 통과에 청신호(매일신문 18일 자 1·3면 등)가 켜진 가운데 현재 진행 중인 신라왕경 복원사업 범위가 더 넓어질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업을 추진 중인 문화재청이 해당 사업의 발전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신라왕경 복원사업은 2025년까지 국비와 지방비 등 모두 9천450억원을 투입해 신라왕경 8개 핵심 유적을 발굴, 복원·정비하는 사업이다. 8개 핵심 유적은 월성과 황룡사지를 비롯해 동궁과 월지, 월정교, 신라왕경 방(坊), 대릉원 일대 쪽샘지구와 대형고분, 첨성대 주변 등이다.
문화재청은 2014년부터 경주에 신라왕경 복원 정비사업 추진단을 파견, 지금까지 금관총 발굴, 황룡사 역사문화관 개관, 월정교 문루 복원, 천마총 리모델링 등 굵직한 사업 성과를 냈다.
하지만 가장 큰 기대를 모았던 황룡사 9층 목탑 복원 사업이 고증의 어려움에 발목 잡혀 속도를 내지 못하는 등 지지부진한 상태다. 또 '왜 신라왕경 복원사업이 8개 핵심 유적만 대상으로 해야 하느냐'는 근본적인 질문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 때문에 문화재청은 올 초 '신라왕경사업의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기획연구' 용역을 발주하고 연말까지 결과를 도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연구용역은 신라 왕경 중심권역 내 8개 핵심유적의 단편적인 조사와 연구에서 나아가 '미래사회 수요와 환경 변화에 따른 신라 왕경 사업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게 목적이다.
이를 통해 신라왕경사업 핵심유적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정립하고 앞으로 신라왕경 유적 발굴을 위한 중장기 발전 방향을 수립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기존 신라왕경 사업 현황을 분석한 뒤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신규 사업을 발굴하는 것도 연구용역 과업의 하나로 포함됐다.
신라왕경 특별법이 제정되면 관련 사업 추진을 위한 안정적인 재정 확보가 가능해지는 데다 문화재청이 신규사업 발굴에도 나선 만큼 신라왕경 복원사업의 외연이 대폭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는 목소리가 크다.
경북도 관계자는 "문화재청이 주도하는 사업이라 도가 사업의 내용과 비전 등에 깊이 개입하기 어려운 여건"이라면서도 "신라왕경 특별법 제정과 함께 문화재청 연구용역 결과가 나오면 신라왕경 복원사업의 항목과 범위가 현재보다 넓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