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상 높아진 민간병원, 공공의료기관 급여가 못 따라가
공공의료 주 수요자는 저소득층…정신건강 서비스 위축 우려
공공의료기관인 대구의료원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개원, 이직을 이유로 그만두면서 병상 수가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저소득층에 대한 정신건강 서비스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1일 대구의료원에 따르면 이곳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3명 중 2명이 이달과 내달 잇따라 퇴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1명은 다른 지역 병원으로 옮길 예정이며, 다른 1명은 대구에서 개원한다는 것.
이로 인해 대구의료원이 동시에 감당할 수 있는 정신과 환자는 현재 180명에서 9월에는 60명(입원 50명, 내원 10명) 수준까지 줄어든다. 의사 1명이 맡을 수 있는 내원·입원 환자 수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한때 5명에 달했던 대구의료원의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는 2017년부터 줄기 시작했다. 정신과 전문의인 전임 원장이 2017년 개원을 이유로 중도 퇴임했고, 지난해 9월에도 의사 1명이 퇴직했다.
지역 의료계에 따르면 정신과 의사 이탈은 최근 높아진 정신과 병·의원의 위상을 공공의료기관이 따라가지 못하면서 '일은 고되고 수익은 적은' 이중고를 겪기 때문으로 풀이하고 있다.
정신건강 관리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높아지면서 환자들이 정신과 방문을 기피하지 않게 됐고, 다양한 트라우마를 겪은 이들이 정신과를 수시로 찾을 만큼 수요가 늘면서 개원 의사들의 수익도 늘어났다는 것.
반면 공공의료기관으로 의료비 지불 부담이 적은 대구의료원에선 저소득층 환자가 많은데다, 중증 환자가 다수여서 근무 여건은 상대적으로 열악한 편이다.
일각에선 지역 내 정신건강 분야의 공공성이 약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특히 저소득층 환자들이 진료 환자 수 제한 탓에 제때 치료받지 못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대구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폐쇄병상을 적어도 100개 이상 유지하고자 의사를 1명 이상 추가 채용할 방침이다. 최근 정신과 의사를 무기한 수시 채용한다는 공고를 냈다"고 했다.
시는 또 현재 1.5차병원에 속하는 대구의료원을 2차병원으로 격상해 응급치료 서비스를 보강하고, 부족해진 정신과 환자 서비스는 대구정신병원(달성군 화원읍 본리리)을 통해 보완할 방침이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