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자영업종에서의 채무상환능력 악화…가계부채 고위험 가구도 우려
가계 빚 증가 속도가 낮아졌지만 소득보다 더 빨리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자영업자 부채의 경우 도·소매와 숙박음식업 등 일부 업종에서 채무상환능력이 눈에 띄게 나빠졌다.
한국은행은 20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1분기 말 명목 국내총생산(GDP)에 견준 민간신용 비율이 189.1%로 작년 말 대비 1.4%포인트(p) 상승했다고 밝혔다. 민간신용은 자금순환표상 가계의 대출과 정부 융자, 기업의 대출·채권·정부 융자 등 민간 부문 부채를 모두 합한 것이다.
가계부채는 비은행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둔화한 모습을 보였다. 가계부채는 1분기 말 현재 1천540조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4.9% 증가해 2017년 이후 증가 속도가 늦어졌다.
하지만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분기 158.1%(한은 추정치)로 지난해 동기 대비 1.9%p 올라 상승세를 유지했다. 이는 실제 가계가 쓸 수 있는 소득보다 빚이 더 많이 늘었다는 것이다. 더불어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도 1분기 48.1%로 지난해보다 2.1%p 상승했다.
한은은 보고서를 통해 최근 자영업자 대출의 건전성 악화를 우려했다. 1분기 말 현재 자영업자 대출 잔액은 636조4천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12조1천억원 증가했다. 한은은 "최근 업황 부진이 두드러진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등 일부 업종을 중심으로 자영업자의 채무상환 능력이 다소 악화했다"고 했다.
실제 도소매업의 소득 대비 대출 비율(LTI)은 2017년 239.4%에서 294.4%로, 숙박음식업의 LTI는 같은 기간 222.1%에서 255.3%로 각각 상승했다.
가계부채 고위험 가구에 대한 분석도 나왔다. 고위험 가구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0%를 넘고, 자산평가액 대비 총부채(DTA) 비율이 100%를 넘는 가구로 뜻한다. 주택가격 및 처분가능소득이 모두 15% 감소하는 시나리오를 가정한 상태에서 채무상환 능력이 약한 고위험 가구가 받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고위험 가구 비중이 2.7%에서 5.7%로 많아졌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