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인근 11개 학교 학부모 시청 앞 집회 '아이들 생존권' 주장
지난 2월 상업 운영에 들어간 포항 남구 호동 생활폐기물 에너지화 시설(SRF)과 관련, 인근 학교 학부모들이 운영 중단을 요구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포항 SRF 시설 인근 지역인 오천읍·청림동 11개 초·중·고 학부모 200여 명은 20일 포항시청 앞에서 "1만명 아이들의 생존권과 환경권을 위해 쓰레기발전소 가동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학부모들은 이 시설이 가동된 뒤 기관지가 나빠져 병원을 찾는 주민들이 늘고 있다며 건강에 대한 우려를 호소했다.
남구 오천읍 학부모 김나연(37) 씨는 "이전엔 없었던 자동차 타이어 냄새가 나 창문도 열지 못하고 산다. 목이 너무 아파 잠도 못잘 정도"라며 "아이들의 성장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까봐 걱정이 크다. 주변 주민도 이런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특히 학부모들은 쓰레기를 태울 때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다이옥신 등 발암 물질에 대한 우려도 내비쳤다. 시설 가동 후 하루살이 등 병해충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 상가나 주택을 덮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포항시는 생활쓰레기 매립장인 호동 1·2 매립장 등이 90% 포화상태로 SRF 시설 가동을 중단하면 내년에 쓰레기 대란이 발생할 수 있어 중단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포항시 관계자는 "민관협의체를 구성해 다이옥신, 미세먼지, 악취 등을 검증해보자고 인근 주민들에게 요청해 놓은 상태다. 시설 시험 가동시 다이옥신 법적 기준치인 0.1ng(나노그램 ; 10억분의 1g)에 한참 못 미치는 0.007ng이 나왔다"며 "하반기에도 시 예산을 들여 2차례 다이옥신 측정을 진행해 주민 불안을 해소할 계획이며, 현재 굴뚝에 다이옥신 상시 측정시스템을 장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했다.
쓰레기를 압축하고 태워 전기를 생산하는 이 시설은 2008년 임대형 민간투자(BTL) 방식으로 사업이 추진됐다.
하지만 인근 지역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혀 공사가 지연되다 지난 2월 준공돼 상업운영을 시작했다. 여기에 들어간 예산은 국·도·시비 700여 억원과 민자 800여 억원 등 1천500여 억원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