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집 보유율 61.1%·내집 주거율 57.7% '역대 최고'
'주거기준 미달' 5.7%, 작년보다 줄어…82.5% "내집 꼭 가져야"
우리나라 국민이 내 집을 처음 마련하는 데는 평균 7.1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국토연구원과 한국리서치에 의뢰, 지난해 6∼12월 표본 6만1천275가구를 대상으로 개별 면접조사한 '2018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생애 최초 주택' 마련에 걸리는 시간은 7.1년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6.8년, 2016년 6.7년보다 0.2∼0.3년 늘었다.
자가(自家) 가구의 연 소득 대비 주택구입가격 배수(PIR·Price Income Ratio)는 전국 단위에서 5.5배(중앙값)로, 2017년 5.6배보다 다소 낮아졌다. 한 가구가 1년 소득을 모두 저축한다고 가정해도 5.5년은 모아야 자기 집을 살 수 있다는 뜻이다. 집을 빌린 임차 가구의 월 소득에서 월 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율, RIR(Rent Income Ratio)는 전국에서 1년 새 17%에서 15.5%(중앙값)로 떨어졌다.
자기 집을 가진 가구의 비율(자가 보유율)은 61.1%로 전년과 같았다. 자기 집에 살고 있는 가구의 비율(자가 점유율)도 2017년과 다름없이 57.7%였다.
전체 가구의 평균 거주 기간은 7.7년으로 2017년(8년)보다 줄었고, 현재 집에서 산 기간이 2년 이내인 가구의 비율(주거이동률)은 36.4%로 집계됐다. 수도권(40.6%)의 주거이동률이 광역시 등(35.5%), 도 지역(30.6%)보다 높았다.
전체 가구의 5.7%(111만 가구)는 '최저 주거 기준'에도 미치지 못했다. 다만 이 비율은 전년(5.9%, 114만 가구)과 비교하면 다소 낮아졌다.
주택 보유 의식 관련 문항에서는 82.5%가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는 2017년(82.8%)보다 다소 낮지만 2014년 79.1%와 비교하면 4년 새 3.4%P 높아진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