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자 67% "상반기 취업경기 더 나빠졌다"

입력 2019-05-10 08:02:50

잡코리아·알바몬, 4천579명 설문조사…26% "경기회복이 선결과제"

지난달 취업자가 25만 명 늘어나며 두 달 연속 20만 명대를 기록했다. 고용률은 60.4%를 기록해 1982년 7월 월간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3월 기준으로 가장 높았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이 10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에서
지난달 취업자가 25만 명 늘어나며 두 달 연속 20만 명대를 기록했다. 고용률은 60.4%를 기록해 1982년 7월 월간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3월 기준으로 가장 높았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이 10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에서 '3월 고용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구직자 3명 가운데 2명은 올해 상반기에 일자리 찾기가 더 어려워졌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10일 취업포털 '잡코리아'와 아르바이트포털 '알바몬'에 따르면 올 상반기에 구직활동을 한 구직자, 아르바이트생, 대학생 등 4천579명을 대상으로 '취업 경기'에 대해 공동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전체의 67.3%가 '더 악화했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30.4%는 '예전과 비슷하다'고 밝혔으며, '구직난이 완화됐다'는 답변은 2.3%에 불과했다.

취업 경기가 더 나빠졌다고 느끼는 이유로는 '채용을 진행하는 기업이 줄었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27.4%(복수 응답)로 가장 많았고 ▲ 기업 채용 인원 감소(21.9%) ▲ 입사 지원 경쟁률 상승(20.7%) ▲ 전반적인 경기 부진(16.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취업 경기 악화에 따른 구직활동 영향에 대해서는 '눈높이를 낮춰 입사 지원한다'는 응답이 29.5%로 가장 많았고, 입사 지원 횟수를 늘린다고 밝힌 구직자가 27.7%로 그 뒤를 이었다.

올 하반기 취업 시장 전망에 대해서는 53.3%가 '상반기와 비슷할 것'이라고 답했으며, 더 나빠질 것이라는 응답도 30.4%에 달했다. 나아질 것이라는 전망은 16.3%에 그쳤다.

구직난 타개를 위해 필요한 것으로는 전체의 26.4%가 '경기회복과 경제성장'이라고 지적했고, '실효성 있는 정부의 일자리 정책'과 '기업의 적극적인 일자리 창출'이라는 답변이 각각 23.2%와 2.7%였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