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한반도 평화, 美 차후 태도에 좌우…모든 상황 대비"

입력 2019-04-26 15:55:11

北통신, 북러정상회담 결과 보도…"美 비선의적 태도로 한반도 정세 교착"
푸틴, 방북 초청 수락"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6일 귀국길에 오르기 위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역에 도착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6일 귀국길에 오르기 위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역에 도착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가운데)이 25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루스키 섬의 극동연방대학에서 정상회담을 마친 후 검을 선물로 주고받고 있다.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가운데)이 25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루스키 섬의 극동연방대학에서 정상회담을 마친 후 검을 선물로 주고받고 있다. 연합뉴스

25일(현지시간)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 소재 극동 연방대에서 정상회담한 블라디미르 푸틴(오른쪽) 러시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만찬 중 대화하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담 뒤 기자회견에서
25일(현지시간)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 소재 극동 연방대에서 정상회담한 블라디미르 푸틴(오른쪽) 러시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만찬 중 대화하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담 뒤 기자회견에서 " 비핵화는 일정 정도 북한의 군비축소를 의미하는 것"이라면서 "북한에는 자국 안보와 주권 유지를 위한 보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블라디보스토크 정상회담을 통해 결속을 과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블라디보스토크 정상회담을 통해 결속을 과시, '비핵화 공조'에 나서면서 미국의 셈법이 복잡해졌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25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회담에서 비핵화 협상 교착 국면의 책임을 미국에 돌리며 "조선반도(한반도)의 평화와 안전은 전적으로 미국의 차후 태도에 따라 좌우될 것"이라고 밝혔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6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전날 푸틴 대통령과 확대회담에서 "얼마 전에 진행된 제2차 조미(북미)수뇌회담에서 미국이 일방적이며 비선의적인 태도를 취함으로써 최근 조선반도와 지역정세가 교착상태에 빠지고 원점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위험한 지경"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모든 상황에 다 대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의 이런 발언은 지난 12일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미국의 태도 변화를 촉구한 것과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당시 김 위원장은 "미국이 올바른 자세를 가지고 우리와 공유할 수 있는 방법론을 찾은 조건에서 제3차 조미(북미)수뇌회담을 하자고 한다면 한 번은 더 해볼 용의가 있다"면서 "올해 말까지는 인내심을 갖고 미국의 용단을 기다려볼 것"이라며 그 시한을 '올해 연말'로 못 박은 바 있다.

통신은 김 위원장이 푸틴 대통령이 '편리한 시기'에 방북할 것을 초청했으며, 푸틴 대통령이 흔쾌히 수락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북러 정부 간 무역·경제 및 과학기술협조위원회의 사업을 더욱 활성화하며 두 나라 사이의 "호혜적인 경제무역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여러 분야에서 적극적인 대책을 취하기로 했다.

한편, 김 위원장은 26일 블라디보스토크에서의 일정을 줄이고 조기 귀국길에 올랐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