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실소유주 논란 다스(DAS), 자금유동성 위기 벗었다

입력 2019-04-16 18:08:54

채권은행단, 내년 2월 말까지 여신회수 연장

도산 위기에 놓였던 자동차부품 생산업체 다스(DAS)가 당분간 자금난 걱정을 덜게 됐다. 다스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 실소유주라는 의혹을 받는 회사다.

다스는 올들어 심각한 자금난을 겪어 왔다. 이 전 대통령과 관련된 논란의 중심에 서면서 검찰이 다스와 관계사를 압수수색했고, 국세청이 지난해 1월 특별 세무조사를 벌였기 때문이다.

이후 다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퍼지며 회사 대외신용도는 급격하게 떨어졌고, 금융기관들은 계획된 상환 일정을 당겨 대출금을 갚으라고 요구하거나 추가 담보를 요구, 도산이 우려됐다.

그러나 다스는 최근 채권은행단과의 자율협약을 성사시키며 위기를 벗어났다. 다스는 "지난해 12월부터 진행해 온 다스-금융기관 간 자율협약에서 채권은행들이 여신 회수 기한을 연장하기로 최종 합의했다"고 16일 밝혔다.

7개 채권은행은 다스의 유동성 확보를 위해 올해 3월 29일 자 기준 금융채권에 대한 추가 담보나 금리 변경 없이 내년 2월 29일까지 한도성 여신, 분할상환금, 지급 보증 등의 만기를 연장한다는 게 주요 내용이다. 주채권은행인 KEB하나은행은 기업할인어음 한도 200억원과 외상채권 담보대출 한도 50억원을 내년 2월 29일까지 추가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해당일 기준 다스의 국내외 차입금은 2천32억원 정도다. 다스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겪어온 유동성 위기에서 당분간 벗어나 경영 정상화를 이룰 토대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경주 외동농공단지에 본사를 둔 다스는 자동차 시트 부품을 생산한다. 경주 본사·공장·연구소, 경기도 용인의 중앙연구소, 충남 아산 공장 외에도 해외 곳곳에 다수 사업장을 두고 있다.

연간 매출액은 2017년도 기준 1조7천958억원, 직원 규모는 1천300명가량이다. 80여 협력업체 가운데 40여 곳이 경주에 있고, 7천여 명이 종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주시 인구가 25만여 명인 점을 감안하면 4인 가족 기준 경주 전체 인구 8분의 1 정도가 다스와 관련이 있는 셈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