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수로 원해연만 경주 설립 유력…2천400억원 규모 본원은 부산·울산으로

입력 2019-04-11 18:17:48

경주 월성원전 1호기. 매일신문 DB
경주 월성원전 1호기. 매일신문 DB

경북도와 경주시가 유치에 사활을 걸었던 국내 첫 원전해체연구소(이하 원해연) 입지가 내주 발표되는 가운데 전체가 아닌 '분원'만 경주에 들어설 것으로 보여 후폭풍이 거셀 전망이다.

정부가 원해연 입지를 분리해 경주에는 중수로 원해연을, 부산과 울산 접경지역에는 경수로 원해연 설립을 내정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지역민들의 분노도 들끓고 있다.

11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15일 원해연 입지를 이같이 분리 결정하고 경주시, 부산시, 울산시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예정이다.

지난 2월부터 정부가 원해연을 부산 기장군과 울산 울주군에 걸쳐 설립하기로 했다는 내정설이 흘러 나오면서 당초 지난달 말 발표 예정이었던 원해연 입지 발표는 계속 미뤄져왔다.

산업부는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지만 지역 반발이 숙지지 않자 결국 원해연을 쪼개 중수로는 경주에, 경수로는 부산·울산에 설립하는 방안으로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애당초 부산·울산으로 입지를 정해 놓고 내년 총선 등 정치적 이유로 언론에 이를 흘리며 민심 떠보기를 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무엇보다 부산·울산에는 2천400억원 규모의 경수로 원해연이 들어설 것으로 추산되는 반면 경주에는 700억원 규모의 중수로 원해연이 설립될 가능성이 높아 논란이 일 전망이다.

김석기 자유한국당 국회의원(경주) 측은 "현재로서는 정확히 언급하기 어렵지만 그렇게(분리결정) 알고 있다"면서도 "비용 규모는 변동될 수 있다. 산업부에서 용역을 진행 중에 있고 결과가 나와야 확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홍의락 의원(대구 북을)은 "그렇게 결정될 것으로 알고 있고, 경주시도 MOU에 참여할 것"이라며 "정확한 비용은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정부의 이러한 '나눠먹기식' 분리 결정에 경주 시민들은 허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지속해서 건의·설득했지만, 경수로와 중수로 원해연 분리로 가닥이 잡힌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 방사성폐기물검증연구센터 등 원전 관련 타 기관의 도내 유치를 위해 총력전을 벌이겠다"고 말했다.

산자부 관계자는 매일신문 기자와의 통화에서 "15일 공식 발표 이전까지 어떤 것도 확정된 게 없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