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과 관련해 현실과 괴리감 있는 북한 언론

입력 2019-03-01 17:10:09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북미정상회담 소식을 1∼2면에 걸쳐 보도했다. 신문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건설적인 대화를 나눴고, 생산적인 대화를 이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지만 전날 양측이 합의문에 서명하지 못한 채 회담이 결렬됐다는 언급은 하지 않았다. 연합뉴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북미정상회담 소식을 1∼2면에 걸쳐 보도했다. 신문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건설적인 대화를 나눴고, 생산적인 대화를 이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지만 전날 양측이 합의문에 서명하지 못한 채 회담이 결렬됐다는 언급은 하지 않았다. 연합뉴스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결렬됐지만, 북한은 1일 이를 전혀 언급하지 않은 채 회담의 긍정적인 측면만 앞세워 전했다.

대외적으로는 미국과 대화를 계속할 의지를 내보이는 한편, 안으로는 회담 실패에 따라 자칫 명분이 약해질 수 있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비핵화 노선에 대해 주민들의 결속을 다지려는 의미로 풀이된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전체 6개 면 중 1∼2면에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 정상회담 사진 13장을 싣고 베트남 하노이에서 전날 진행된 회담에 대해 상세히 보도했다. 전날 1∼2면에 총 17장의 회담 사진을 싣고 밝고 긍정적인 분위기 중심의 사진들로 편집해 보도한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날 신문도 대부분이 두 정상의 회담 사진으로 채워졌다. 1면에는 전날 진행된 북미 단독정상회담 사진 4장이 실렸는데, 두 정상이 악수로 첫 인사를 나누는 장면부터 원탁 회담을 하는 장면까지 시종일관 미소를 띤 모습들로 채워졌다.

이어지는 2면에는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단독회담 직후 회담장인 하노이 메트로폴 호텔에서 4분간 진행한 정원 산책 모습과 곧이어 진행된 확대회담 등 사진 9장이 실렸다. 대부분 김 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산책 중 마주 보기도 하고 손동작을 하기도 하며 적극적으로 대화를 하는 모습이다.

확대회담에서는 북측에서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과 리용호 외무상 등 2명이, 미국 측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 믹 멀베이니 백악관 비서실장 대행 등 3명이 배석한 가운데 양측 참석자들이 테이블에 손을 얹고 밝은 표정으로 회의한 모습이 담겼다. 여기서 김 위원장은 치아를 드러내거나 붉게 상기한 얼굴로 크게 웃는 모습이었다.

노동신문은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이번 상봉과 회담의 성과를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인데 대해 사의를 표하고 새로운 상봉을 약속했다"며 "이번 회담이 조미관계를 두 나라 인민의 이익에 맞게 발전시키며 조선반도와 지역, 세계의 평화와 안전에 이바지하는 의미 있는 계기"라고 평가했다.

이같은 북측의 보도에 대해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예정된 오찬을 취소하고 긴 회의를 했지만 결국 합의문 서명도 하지 못하고 회담이 결렬된 현실과는 괴리가 있다는게 전문가들 분석이다.

최신 기사